미국 앨라배마주 현대자동차 공장 모습. 현대차 제공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차량 배기가스 규제를 무효화하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소송전이 동력을 잃으면서 트럼프 편에 선 현대·기아자동차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대·기아차와 함께 소송에 참가했던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일본 닛산은 최근 ‘소송 철수’ 선언을 했다.
7일 <한겨레> 취재 결과, 제너럴모터스와 닛산은 트럼프 행정부와 미국 시민단체 환경보호기금(EDF) 간 소송에 더 이상 참가하지 않고 있다. 앞서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철수한 것이다. 제너럴모터스 최고경영자(CEO)인 메리 배라는 지난달 23일(현지시각) 낸 입장문에서 “대통령 당선인과 캘리포니아주, 제너럴모터스의 차량 전동화 목표는 방향이 같다”며 “우리는 소송에서 즉시 철수하며, 다른 완성차 업체도 우리와 함께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 4일에는 닛산도 소송에서 철수한다고 밝혔다.
이제까지 완성차 업체들은 친환경차 규제를 완화하려는 트럼프 편에 서서 해당 소송에 참가해왔다. 지난해 캘리포니아주와 일부 완성차 업체는 별도의 강화된 연비 기준에 합의했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주 정부에 이런 권한이 없다며 제동을 걸었다. 이에 환경보호기금이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당시 총 15개 완성차 업체가 피고인 트럼프 행정부 쪽에 소송참가 신청을 낸 바 있다. 사실상 미국 내 친환경차 대중화를 늦추기 위한 시도였다.
이 중 제너럴모터스와 닛산이 발을 빼면서 주요 완성차 업체 중에서는 일본 도요타와 현대·기아차만 남게 됐다. 업계에서는 다른 기업과 달리 이들 업체가 미국 내 순수전기차 생산 계획을 확정하지 못한 만큼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현대·기아차는 코나 일렉트릭 등 전기차의 미국 판매분을 전량 수출로 대응해왔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트럼프와 캘리포니아주 소송 건은)아직 상황을 지켜보는 중”이라며 “다른 완성차 업체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미국 전기차 시장의 중요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큰 점을 고려하면 발빠른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미국 시장의 비중은 지난해 상반기 13%에서 올해 상반기 11%로 줄었으나, 향후 친환경차 규제가 강화되면 빠르게 늘 가능성이 크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전기차 판매량을 보면 중국과 유럽이 비슷한 수준”이라며 “한국 업체들의 경우 중국 시장에선 어느 정도 (성장의) 한계가 있는 만큼 미국이 새로운 ‘캐스팅 보트’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