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연합뉴스> 자료 사진.
미국 연방준비제도(FRB)가 13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1.75~2.00%로 이전보다 0.25%포인트 올렸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은 지난 3월에 이어 올들어 두 번째다. 미국이 제로금리를 벗어나면서부터 계산하면 7번째 인상이다. 이날 미국 금리 인상에 따라,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 폭도 0.50%포인트로 확대됐다.
이번 기준금리 인상은 만장일치로 결정됐다. 연준은 미국 경제가 견조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물가상승률도 목표치(2%)에 부합해가고 있다고 밝혔다. 연준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7%에서 2.8%로 상향 조정하고, 실업률 전망치도 3.8%에서 3.6%로 낮췄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참가자들이 전망한 향후 정책방향 투표에서는 연내에 추가로 두 차례 금리를 올린다는 전망이 가장 많았다. 3월과 6월 인상을 포함해 올해 금리 인상이 모두 4차례 이뤄진다면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한층 빨라지는 것이다. 연준은 2015년과 2016년에는 한 차례씩, 2017년에는 세 차례 금리를 올린 바 있다.
미국의 금리인상이 빨라지면 신흥국들사이에 외국인 투자자금이 급격히 빠져나가는 ’긴축발작’이 더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우리나라도 한-미 금리 역전 폭이 커지고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가능성이 커진다.
우리 정부는 14일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어,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글로벌 시장 영향과 대응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고 차관은 “연준의 금리 인상 직후 시장에서 일시적으로 주가 하락, 금리상승, 달러화 강세가 나타났다면서도 이후 되돌림하는 모습을 보이며 전반적으로는 시장영향이 제한적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고 차관은 “우리나라의 경우 이번 연준 결정으로 인한 단기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정부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신흥국의 금융불안이 퍼질 가능성을 언급하고 금리 인상 여파가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경우에 대비해 차주들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선제 대응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정남구 기자
jej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