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글로벌워치

미·EU 중앙은행 총재 ‘금융규제 완화’ 반대 한목소리

등록 2017-08-28 17:44수정 2017-08-28 20:51

잭슨홀 심포지엄…통화정책 관해선 입닫아
경기회복 긍정 평가·불평등 확대 우려 등도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과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 총재는 24~26일(현지시각)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시장 한편의 기대와는 달리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입을 다물었다. 대신 금융안정과 보호주의를 중심으로 연설했다. 옐런 의장은 세계금융위기 이후 강화된 규제가 미국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구상중인 규제완화에 반대한다는 뜻을 밝혔다. 드라기 총재는 보호무역주의의 위험성을 경고하면서 규제 완화의 부작용에 우려를 나타냈다. 통화정책을 언급하지 않은 탓인지 두 사람의 발언이 큰 반향을 낳지는 못했다.

심포지엄이 열린 산악 휴양지 잭슨홀의 풍경
심포지엄이 열린 산악 휴양지 잭슨홀의 풍경
그럼에도 이번 잭슨홀 심포지엄에서는 주목할 만한 발언들이 많았다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27일 보도했다. 드라기 총재는 “중앙은행들의 부양책 등에 힘입어 경기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며 “유로존(유로를 화폐로 쓰는 나라)을 보더라도 물가상승률이 낮긴 하지만 경제가 더 강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모리스 옵스트펠드 국제통화기금(IMF)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지금 경기회복은 (세계적으로) 동시에 이뤄지고 있으며 지난 10년간 지켜본 어떤 것보다 광범위한 것이다”라고 밝혔다. 두 사람 모두 세계경제의 최근 흐름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가하면 참석자들 가운데는 정치인들이 무책임한 정책으로 경기회복세를 덧나게 할지 모른다며 걱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심포지엄에서는 불평등 확대와 생산성 증대 둔화를 두고도 논의가 오갔다. 노먼 찬 홍콩 금융관리국(중앙은행) 국장은 노동소득분배율 하락과 부의 집중 심화는 “총수요에 영향을 주고 잠재성장률을 떨어뜨릴 수 있다”며 중앙은행에 큰 걱정거리라고 말했다. 하지만 중앙은행이 이런 문제 해결에 주도적 구실을 할 수 없다는 점에 대해서는 대체로 이견이 없었다.

재정 분야 권위자인 앨런 아우어박 미국 버클리대학 교수 등은 국가채무 수준이 높은 나라라고 하더라도 공공지출을 늘리면 재정건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재무부가 늘 부채 문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전통적 견해가 그릇된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전했다.

이경 선임기자 jaewoo@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2년 연속 수십조 결손 1.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2년 연속 수십조 결손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2.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3.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한국 철강에 ‘트럼프발 관세전쟁’ 회오리 4.

한국 철강에 ‘트럼프발 관세전쟁’ 회오리

“퇴근 뒤 농사지으러 갑니다”…도시에서 찾은 자급자족의 길 5.

“퇴근 뒤 농사지으러 갑니다”…도시에서 찾은 자급자족의 길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