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일자리위원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금융환경 변화에 따라 금융권 종사자 가운데 전통적인 판매채널 인력은 감소하고, 정보통신기술(ICT)이 접목된 핀테크 분야 인력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정부는 금융권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금융산업 진입 장벽 완화, 규제 혁신 등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18일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에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금융분야 대응방안’을 보고했다. 이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금융권 종사자는 86만명으로, 금융회사 임직원이 38만8천명, 보험설계사와 카드·대출모집인이 47만2천명이다.
금융회사 임직원 가운데 은행 종사자는 2016년 13만4천명에서 지난해 12만1천명으로 4년 새 1만3천명 줄었다. 카드·캐피탈 등 여신전문회사 종사자도 같은 기간 2만5천명에서 2만3천명으로 2천명 줄었다.
반면 자산운용사 등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은 2016년 4만5천명에서 지난해 5만3천명으로 8천명 증가했다. 상호금융 임직원도 같은 기간 11만8천명에서 12만1천명으로 3천명 늘었다.
금융위는 영업점포 등 전통적인 판매채널 인력은 지속적으로 줄어들지만 금융회사의 디지털 전환 및 핀테크 기업 성장에 따라 정보기술(IT)·핀테크 전문 인력 수요는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고령화 추세로 노후 대비 자산축적 분야, 저금리 시대 새로운 수익창출원 발굴 등에 새로운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금융위는 금융산업 진입규제를 합리화하고 금융과 정보통신기술 간 시너지 효과를 촉진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 기회를 만들겠다고 했다. 금융권의 핀테크 투자 활성화를 위해 ‘핀테크 육성 지원법’ 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새로운 금융인력 수요에 대응해 정보기술, 핀테크, 지역특화금융 등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 및 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금융권을 넘어 실물경제 전체 일자리 창출 지원을 위한 금융 공급도 활발히 추진한다. 증권사가 벤처대출 겸영업무를 하도록 허용하거나 혁신기업 대출·투자 관련 규제를 풀어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크라우드 펀딩 활성화를 위해 대상 기업이나 투자 한도 등을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