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경제 부총리(오른쪽 두번째)와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정책위 의장이 1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뉴딜펀드 판매 창구를 방문해 판매 직원들을 격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참여정책형 뉴딜펀드(뉴딜펀드)에 투자자 관심이 쏠리면서 출시 4일 만에 일반 국민 참여분 판매가 완료되는 사례가 잇따랐다.
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케이비(KB)국민은행은 이날 뉴딜펀드 판매를 시작한 지 2시간 반만에 배정 물량 226억원을 모두 소진했다. 함께 판매를 개시한 케이비투자증권도 이날 오전 중 펀드 판매를 완료했다. 앞서 지난달 29일 판매를 개시한 케이디비(KDB)산업·신한·하나·우리·엔에이치(NH)농협은행도 당일 각사에 배정된 물량을 모두 팔았다. 뉴딜펀드의 장점이 입소문을 탔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투자증권, 유안타증권, 한국포스증권에서도 출시 첫날인 지난달 29일 배정 물량을 모두 판매했고, 신한금융투자, 유안타증권, 한화투자증권도 완판 행렬에 들었다.
아이비케이(IBK)기업은행, 아이비케이투자증권 등 일부 판매사에선 1일 오후까지 배정 물량이 남았지만, 이번주 중 전체 15개 판매사에서 판매 완료될 것으로 업계에선 보고 있다. 애초 판매 기한은 4월16일로 잡혀 있었다. 전체 설정액 2천억원 중 일반 투자자들에게 배정된 판매 규모는 1370억원이다.
국민참여 뉴딜펀드는 뉴딜 분야 기업이 발행하는 주식이나 메자닌증권(주식과 채권의 중간 형태)에 주로 투자하는 사모재간접 공모펀드다. 민간 금융사가 자체적으로 출시해온 ‘민간 뉴딜펀드’나 세제혜택을 받는 ‘뉴딜 인프라 펀드’와는 다르다.
선순위 투자자로 참여하는 일반 투자자는 펀드 기준가가 21.5% 하락할 때까지 손실을 보지 않는다. 펀드가 반토막 나더라도 손실률은 36.3%로 제한된다. 정책자금이 후순위로 함께 출자해 투자자의 손실을 방어해 주는 구조로 설계됐기 때문이다. 다만, 수익률 20% 초과 구간에서는 선순위 투자자와 후순위 투자자 간 초과수익을 4대 6으로 안분한다. 만기 4년 폐쇄형 구조로 설정돼 중도 환매는 할 수 없다. 90일 안에 펀드가 상장될 예정이어서 그 뒤엔 매매 방식으로 자금을 중도 회수할 수 있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