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여파로 경기도 안산에 있는 한 공장의 주조 라인이 멈춰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코로나19 사태로 기업들의 경영 어려움이 가중됐으나 정부와 금융권의 금융지원 영향으로 부실징후기업 숫자는 지난해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들이 올해 3508개 기업에 대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한 결과 157개 기업이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보다 53개 기업이 감소한 것이다. 대기업은 4개사로 전년보다 5개사 감소하고, 중소기업은 153개사로 전년보다 48개사 감소했다.
정기 신용위험평가는 채권은행이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부실징후기업을 선별하기 위해 실시하는 제도로 A·B·C·D 평가등급별로 필요한 사후조치를 수행하게 된다. C·D등급이 부실징후기업으로 분류되는데, C등급은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 D등급은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이다. 등급별로 보면, C등급은 올해 66개사로 전년보다 7개사 증가한 반면에, D등급은 91개사로 전년보다 60개사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금속가공이 17개사로 가장 많았고, 도매·상품중개 13개사, 부동산 13개사, 고무·플라스틱 12개사, 기계장비 12개사, 자동차 12개사 등이었다.
금감원은 코로나19 관련 금융권의 유동성 지원 효과로 인한 연체율 하락, 회생신청 기업 감소 등으로 D등급 기업 수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한 신용위험평가 과정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을 감안하고, 3분기부터 기업실적이 회복 추세인 점도 반영된 것으로 추정했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2조3천억원이며, 이 가운데 은행권이 1조8천억원을 차지한다고 밝혔다. 부실징후기업 여신에 대한 자산건전성 재분류 시, 은행권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예상액은 약 2355억원으로 추정돼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금감원은 전망했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