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코로나19 확산의 여파로 기업의 사업구조 재편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기업이 조기 구조조정을 통한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윤 원장은 7일 자본시장연구원이 주최한 ‘기업부문 취약성: 진단과 과제’ 심포지엄 축사에서 최근 기업부채가 급증하고 영업실적이 악화하는 등 기업 환경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하고, “잠재 부실이 일시에 현재화되는 절벽효과를 대비하면서 국내 경제의 연착륙을 위해서도 선제적 기업 구조조정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원장은 이어 구조조정 주체인 기업과 플레이어인 자본시장, 채권은행 모두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먼저 기업이 구조조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탈피해 조기 구조조정을 통한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끝까지 버티면 살아남았던 과거 고성장 시대의 낡은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자본시장도 새로운 구조조정 플레이어로서 사업 구조조정 역량을 강화해 구조조정 성공사례를 계속 축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윤 원장은 채권은행은 더이상 단기 성과에서 집착하지 말고 기업 선별 기능을 강화해 선제적 구조조정의 기반을 조성해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해 기업부문 위험이 금융부문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은행 스스로 기업의 신용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하고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창균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계기업 현황과 자원 배분 효율성 제고를 위한 과제’ 발제에서 최근 한계기업 비중이 증가 추세인데다 한계기업에서 벗어나지 못할 확률도 증가하고 있어, 고용 안전망을 강화하고 과도한 중소기업 정책자금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등 구조조정을 위한 환경 정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래수 숙명여대 교수와 빈기범 명지대 교수는 ‘시장 친화적 기업구조조정 정착을 위한 정책 제언’ 발제에서 시장 친화적 기업구조조정을 위해 PEF를 육성하고 구조조정기업 거래를 위한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두 교수는 중소기업을 위한 컨설팅을 활성화하고 다양한 구조조정 방식(multi-door)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