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행렬이 꼬리를 무는 고속도로 모습. <연합뉴스>
손해보험 업계가 올해 연말께 자동차보험료를 올리려는 움직임을 가시화했다. 업계는 정비요금 원가와 손해율 인상 등을 근거로 인상폭이 3% 안팎이 될 것으로 내다본다.
11일 손해보험 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주요 손해보험사들은 10월 말 기준 손해율이 적정수준인 77%를 훨씬 웃도는 90%를 넘어섬에 따라 내년 이후 자동차보험료 인상 채비에 나섰다. 먼저 자동차보험 업계 6위인 메리츠화재가 기본보험료율 검증을 보험개발원에 의뢰하며 인상 절차에 공식적으로 들어갔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지난주 후반에 보험료율 검증을 보험개발원에 접수했으나, 아직 서류 보완 등을 요구받고 있어서 본격적인 심사에 들어가지 않았다”며 “현재 검증 접수를 한 것은 우리가 유일하지만, 다른 회사들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보험료율 인상은 현재 민간 자율의 영역이지만, 통상 보험료율 검증 과정에서 금융당국과 인상폭 등에 대한 협의가 이뤄지게 된다. 이 관계자는 “인상폭과 인상시기가 정해진 건 없지만, 우리는 정부 권고로 지난 6월 이후 정비요금 원가가 올라간 것만으로도 보험료 3% 인상 요인은 된다고 본다”고 말했다.
손해보험 ‘빅4’에 들어가는 한 회사 관계자는 “지난해엔 손해율이 낮다보니 올해 보험료를 내렸는데, 올해는 침수·폭염 피해 이외에도 정비요금 원가 인상, ‘문재인 케어’ 정책에 따른 병실차액 보상 증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휴업손해금 지급액 상승 등으로 손해율이 크게 높아졌다”며 “늦어도 12월 초중순까지는 일정 수준의 인상이 가시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에선 2%대를, 업계에선 3~3.5%대를 인상폭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65~70% 수준인 정비요금 원가 재산정 계약률이 80~90% 수준에 이르면 주요 보험사들이 인상폭을 가시화할 공산이 크다. 다만 금융당국에선 정부 정책에 따른 다른 사업비 절감 요인 등은 반영하지 않고 정비원가 인상요인 등만으로 인상폭을 결정할 수는 없다고 보고 있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