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가계부채가 전분기보다 25조원 늘어나 총액이 1493조2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낮아지는 추세지만, ‘100조원 이상 증가’는 12분기째 계속됐다. 사진은 지난해 10월24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는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왼쪽부터),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최종구 금융위원장. 한겨레 자료사진
올해 2분기 가계부채가 25조원가량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증가율은 7.6%로 2015년 1분기(7.4%) 이후 가장 낮았지만, 2015년 3분기 이후 12분기 연속 100조원대 증가세를 유지했다. 또 비은행예금취급기관과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줄어드는 추세지만, 일반은행은 올해 들어 가계대출 증가세가 더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3일 내놓은 ‘2018년 2/4분기중 가계신용(잠정)’을 보면, 지난 6월 말 기준 가계신용(가계부채) 잔액은 1493조2천억원으로 전분기(1468조2천억원)보다 24조9천억원, 지난해 6월 말(1387조9천억원)보다 105조2천억원 늘었다. 증가율은 전분기 대비 1.2%, 지난해 2분기 대비 7.6%였다. 가계부채 종류별로는 가계대출이 전분기보다 22조7천억원 늘어난 1409조9천억원으로 94.4%를 차지했고, 판매신용(할부)은 2조2천억원이 늘어난 83조2천억원이었다.
한은은 “전년 동기 대비 가계부채 증가율 7.6%는 2015년 1분기(7.4%) 이후 최저이고, 가계부채 급등기 이전 10년(2005~14년) 평균 증가율 8.2%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또 2016년 4분기(11.6%) 이후 6분기째 증가율이 둔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료: 한국은행(※ 그래픽을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기관별로 보면, 상호저축은행·신협·새마을금고·우체국예금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2분기 가계대출 증가액은 2조6천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 증가폭(6조3천억원)의 절반에도 못미쳤다. 이들 기관의 올해 1분기 가계대출 증가액도 7천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7조4천억원)보다 크게 낮았다. 보험사·연금기금·여신금융기관(카드사 및 할부사)·공적금융기관(주택금융공사 및 주택도시기금)·증권사·대부사업자·장학재단 등 기타금융기관의 2분기 가계대출 증가액도 7조3천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8조6천억원)보다 약간 적었다.
하지만 가계대출의 주력 창구랄 수 있는 예금은행의 2분기 가계대출 증가액은 12조8천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12조원)보다 많았다. 올해 1분기 증가액도 8조2천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증가 폭(1조1천억원)을 크게 상회했다.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2분기에 6조원 증가해 지난해 2분기(6조3천억원)보다 약간 줄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5조7천억원에서 6조8천억원으로 늘면서 전체적으로 증가세를 기록했다. 그 결과, 전년 동기 대비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지난해 1분기 8.6%에서 2분기 7.5%, 3분기 6.9%, 4분기 7%로 진정되는 추세를 보였지만, 올해 1분기와 2분기에는 8.1%로 다시 높아졌다.
자료: 한국은행(※ 그래픽을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여신심사가이드라인 강화 등 가계부채 관리 대책은 2016년 은행권을 시작으로 점차 제2금융권으로 확산했는데, 정작 제2금융권 가계부채 증가세는 어느 정도 잡혔지만 은행권 가계부채 증가율은 더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는 셈이다. 이와 관련해 한은 문소상 금융통계팀장은 “분기당 아파트분양 물량이 5만~10만채가량인데, 2015년 4분기에는 20만채가량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 입주가 현재 이뤄지는 중이어서 그에 따른 집단대출, 전세자금대출 증가 등이 영향을 끼친 결과로 보인다”며 “하지만 주택거래량이 줄어드는 추세인 만큼 개별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는 둔화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 취급 잔고가 4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보도된 오토론(자동차 대출)이 크게 늘어난 것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변성식 금융안정총괄팀장은 “전년 동기 대비 가계부채 증가율은 계속 둔화하는 추세는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가계부채 증가율이 가계소득 증가율을 상회하고 있는 만큼 시장 흐름을 잘 살피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