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유복근 연구위원 보고서
“금융위기 전, 내외 금리차가 채권투자잔액 변화 주요변수
금융위기 뒤, 글로벌·국내 리스크 영향력 상대적으로 커져”
“금융위기 전, 내외 금리차가 채권투자잔액 변화 주요변수
금융위기 뒤, 글로벌·국내 리스크 영향력 상대적으로 커져”
글로벌 금융위기 뒤 외국인의 한국 채권 투자는 내외 금리차보다 글로벌·국가 리스크에 더 좌우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난 3월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된 뒤 지난달 그 차이가 0.5%포인트로 벌어지자 자본유출 우려가 커졌는데, 금리차 자체만으로는 자본유출을 촉발할 가능성이 작음을 시사한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유복근 연구위원은 3일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외국인의 채권투자 결정요인 변화 분석: 한국의 사례’ 보고서를 내어 이렇게 밝혔다. 유 연구위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2004~7년), 진행 중(2008~9년), 이후(2010~17년) 세 기간으로 나눠, 외국인 채권 순유입액에 △차익거래요인 △글로벌 리스크 △국가 리스크 등 3개 변수가 얼마나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차익거래요인을 단순 금리차로 가정했을 경우 금융위기 전 금리차가 채권 순유입액 변동에 영향을 끼치는 비중은 23%에 달했고, 글로벌 리스크는 16.8%, 국가 리스크는 0%였다. 하지만 금융위기 뒤엔 금리차는 0.3%, 글로벌 리스크는 2.3%로 그 비중이 떨어졌다. 국가 리스크 비중은 0.7%로 소폭 상승했다.
환율변동을 고려한 금리차를 차액거래요인으로 가정했을 경우엔, 금리차 기여율은 금융위기 전 14.4%에서 금융위기 뒤 0.2%로 떨어졌고, 글로벌 리스크(0%→0.2%), 국가 리스크(0%→0.7%) 비중은 소폭이나마 커졌다. 두 모델 분석을 종합하면, 금융위기 이전에는 차익거래 요인이 채권자금 유출입에 큰 영향을 끼치다가 위기 이후엔 거의 사라졌고, 글로벌 및 국가 리스크는 위기 이후 기여율이 약간씩이나마 높아진 셈이다.
유 연구위원은 “외국인의 채권투자 결정요인 변화는 글로벌 금융위기 뒤 경상수지 흑자폭이 커지고 외환보유고가 꾸준히 증가하는 등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이 강화됐고, 외국인의 투자 행태와 리스크에 대한 선호가 변화한 결과로 보인다”며 “금융위기 뒤엔 세가지 변수 이외에, 미국과 비교했을 때의 성장률이나 물가 차이, 금융시장 환경, 외환시장 변동성, 신흥국 불안의 전이효과 등 다양한 다른 변수들이 끼치는 영향력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외국인 채권투자에서 공적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8년 말에는 10%에 불과했지만 2017년 말에는 71%로 높아졌고, 외국인 보유 채권의 잔존만기 1년 이하 비중도 같은 기간 55%에서 28%로 줄어들었다고 덧붙였다. 외국인의 한국 채권투자가 좀더 안전한 공적자금 위주 중·장기물 위주로 재편됐다는 얘기다. 유 연구위원은 “차익거래유인을 점검하는 동시에 글로벌 리스크 변화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하는 한편 국가 리스크 요인이 현실화하지 않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