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카드·생명 등 신한금융그룹 3개 계열사에서 임직원 자녀 특혜 의심 13건을 비롯해 채용비리 정황이 22건 적발됐다. 또 정치인·금융감독원 직원 등 외부추천을 받은 뒤 전 고위관료의 조카나 지방언론사 주주의 자녀, 금융지주 전 최고경영진 관련인 등에게 특혜를 준 정황도 드러났다. 신한은행과 신한카드는 채용 서류심사 때 연령차별과 성차별도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4월12일~5월4일 기간 동안 신한은행·카드·생명·캐피탈 4개 계열사별로 검사한 결과 은행에서 12건, 카드에서 4건, 생명에서 6건의 특혜채용 정황을 찾아내 검찰에 자료를 넘기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신한금융 계열사 임직원 자녀 특혜 정황은 은행 5건, 카드 2건, 생명 6건으로 모두 13건이다. 사회유력자를 등에 업은 외부추천 특혜 정황은 은행 7건, 카드 2건으로 9건이었다. 캐피탈은 채용비리 제보가 5건 있었지만 인사 자료를 찾아내지 못했다.
은행 채용비리에 대해 청년단체 회원들이 규탄 집회를 갖고 있는 모습. <한겨레>자료 사진.
신한은행은 앞서 2015~2017년 3년치 채용비리 검사에선 아무런 혐의가 잡히지 않았으나 이번 검사 결과 2013년 채용과정에서 특혜 정황이 드러났다. 2013년 신한금융 계열사에 재직하던 임직원의 자녀 5명은 낮은 학점 등으로 서류심사 대상 선정 기준에 미달하는데도 전형을 통과했고, 일부는 실무면접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았는데도 최종 합격에 이르렀다. 또 사회 유력자인 부모나 친척을 등에 업고 외부추천 특혜를 받은 것으로 의심되는 7건도 적발됐다. 이들은 서류심사 대상 선정절차에서 내부적으로 정해둔 연령제한에 걸리거나 실무면접에서 최하위권 등급을 받았는데도 모두 최종 합격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채용비리에 금감원 직원이 연루된 것과 관련해선 “전 고위관료 조카 지원 건을 전달하는 통로였던 것으로 보인다”면서 “금감원이 채용비리 연루로 거듭 언급되다 보니 송구스럽지만, 사실관계가 확정된 게 아니어서 검찰 수사 뒤 후속조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향후 검찰 수사를 이유로 지원자의 특혜배경으로 작용한 사회유력자인 전 금융지주 최고경영진, 전 고위관료의 신원은 물론 청탁 통로인 정치인이나 금감원 직원의 면면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또 사회유력자 개별 특혜 의심 정황을 찾아냈을 뿐 브아이아피(VIP) 추천 리스트를 발견하진 못했다고 설명했다.
신한카드는 신한금융 계열사 임직원 자녀로 서류전형 순위가 1114명 중 663위인데 합격권인 128위권으로 순위가 조정된 사례가 발견됐다.
이밖에 신한은행은 채용공고에 연령 차등을 공지하지 않았지만, 2013년 서류심사에서 연령별 배점을 달리한 사실이 드러났다. 지원자 중 1986년생 2점, 87년생 3점, 89년생 이후 5점 식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불이익을 준 것이다. 신한카드 역시 ‘연령제한 없음’ 공지를 하고도 31살 이상(병역면제)은 서류심사에서 자동탈락시켰다. 또 서류지원자 성비는 남녀가 6대 4 정도였지만, 서류단계부터 채용비율을 남녀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전형에서도 성비를 이 수준으로 관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