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의 3연임 안건반대를 권고하는 의결권 자문기관 의견이 처음 나왔다. 하나금융·케이비(KB)금융 등 주요 금융회사 주총이 몰린 23일 ‘슈퍼주총데이’를 앞두고, ‘시이오(CEO) 리스크’와 ‘근로자추천 이사제’ 등을 둘러싼 논란이 갈수록 커지는 모양새다.
15일 기관투자가들에 의결권 자문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스틴베스트는 하나금융과 관련한 보도자료를 내어 “김정태 회장이 주주가치를 훼손한 행위에 연루된 것으로 판단해 (3연임 안건) 반대를 권고한다”고 밝혔다.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 등 다른 의결권 자문기관들도 조만간 김 회장의 3연임 안건에 찬반 의견을 밝힐 참이다. 서스틴베스트는 김 회장의 3연임을 반대하는 주요 사유로, 최순실 연루 인사 특혜와 아이카이스트 부실 대출 등 각종 의혹으로 후보의 사회적 신뢰성이 저하됐음을 들었다. 또 금융당국이 거듭 지적한 ‘셀프 연임’ 구조도 문제로 지적했다.
케이비금융 주총도 근로자추천에 따른 권순원 숙명여대 교수(경영학)의 사외이사 선임 문제를 둘러싸고 노사 갈등이 법정 다툼으로 비화한 상황이다. 소수주주권을 바탕으로 주총에 직접 상정한 노조의 ‘근로자추천 이사 선임’ 시도는 이번이 두번째다. 사 쪽이 주총 표결에 앞서 “공식적 검증 절차를 거치지 않은 후보 선임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반대 의견을 이례적으로 공시하자, 노조는 법원 가처분신청 등으로 맞서고 있다. 이 갈등은 ‘시이오 리스크’와도 직결돼 있다. 윤종규 현 지주 회장은 ‘셀프 연임’ 논란 등에도 지난해 11월 주총에서 연임을 확정 지었으나, 금융당국 채용비리 검사 결과 이른바 ‘브이아이피 추천 리스트’에 윤 회장의 종손녀(누나의 손녀) 이름이 오른 사실이 드러났다. 검찰은 전날 윤 회장 자택을 압수수색 한 데 이어 이날 인사담당자 자택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노조는 근로자추천 이사로 경영감시 수준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만 글로벌 의결권 자문기관인 아이에스에스(ISS)는 이 안건에 반대 의견을 냈다.
하나금융과 케이비금융은 둘 다 외국인 투자자 비중이 크고 국민연금이 단일 최대주주인 금융회사들이다. 이번 주총에서 국민연금 등이 사회적 대립각이 선 안건들에 대해 어떤 방향으로 표를 던질지 관심이 쏠린다.
정세라 한광덕 기자
sera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