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자율협약 절차 개시 발표
박삼구 회장과 금호석화 박찬구 회장 등
부실책임 옛사주 재인수에 부정적 의사
일자리보다는 비용 구조조정에 무게 둬
박삼구 회장과 금호석화 박찬구 회장 등
부실책임 옛사주 재인수에 부정적 의사
일자리보다는 비용 구조조정에 무게 둬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금호타이어 경영정상화 뒤 다시 인수에 도전하는 문제와 관련해 채권단 대표인 케이디비(KDB)산업은행의 이동걸 회장이 “금호산업 형편으로 봤을 때 실질적으로 재인수는 불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 선을 그었다. 앞서 박 회장은 대표이사 해임을 목전에 두고 경영에서 손을 떼기로 합의한 뒤 언론을 통해 인수 재도전을 포기하지 않았음을 밝혔다. 29일 채권단과 금호타이어는 ‘자율협약’을 통한 구조조정 절차를 개시했다.
이 회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어 채권단이 자율협약 추진에 합의해 이달 말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에 대해 연말까지 상환을 연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채권단엔 산은과 우리은행 등 기존 8개사 이외에 중국 현지법인에 채권을 보유한 신한은행이 추가로 합류했다. 금호타이어가 보유한 2조7천억원의 전체 금융채무 가운데 1조9천억원을 자율협약에 합의한 채권단이 보유하고 있다.
이 회장은 또 박삼구 회장뿐 아니라 동생인 박찬구 회장이 대주주인 금호석유화학 쪽이 추후 금호타이어 인수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그는 “금호석유화학도 우리의 출자전환 주식 처분 기피 대상이 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박삼구 회장이 지배하는) 금호산업이나 박삼구 회장뿐 아니라 금호석유화학에도 해당한다”고 말했다. 현행 은행연합회의 출자전환 주식 처분 관련 규칙이 경영부실 책임이 있는 옛 사주가 채권단의 지분 매각 때 우선협상대상자가 되는 것을 제어하는 조항을 두고 있어, 인수를 허용하기 어렵다는 뜻을 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 회장은 박삼구 회장이 경영권·우선매수권·상표권을 모두 내려놓도록 한 협상에서 재인수 관련 언급이 아예 없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또 인력 구조조정은 최소화하는 대신 인건비와 복리후생 등 비용 구조조정을 좀더 염두에 두고 있다는 점도 내비쳤다. 이 회장은 “이 정부에선 지킬 가치가 있는 일자리는 가급적 다 지킨다. 그리고 지금 판단으론 일자리 대부분을 유지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비용 측면의 구조조정이 충분히 이뤄져야 일자리 구조조정이 적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채권단의 출자전환이나 감자는 현재까지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향후 한두달 실사를 거쳐 최종 결정을 내리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박삼구 회장. 사진 한겨레DB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