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규 케이비(KB)금융지주 회장이 14일 차기 회장 단독후보로 확정된 뒤 후보심사를 한 케이비금융그룹 확대지배지배구조위원회 소속 사외이사들이 기자간담회를 열고 있다.
케이비(KB)금융지주 회장 최종후보에 윤종규 현 회장이 단독으로 확정됐다. 윤 회장 이외에 최종후보군에 오른 지주사와 계열사 사장 2명이 인터뷰 검증을 고사한 탓이다. ‘연임 대세론’이 퍼지고 있던 지주 회장이 인사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내부인사들이 최종후보군에 선정된 뒤 일제히 경쟁을 포기해 논란이 예상된다.
14일 저녁 서울 케이비금융 명동본점에서 열린 케이비금융지주 확대지배구조위원회는 7명으로 추렸던 후보군을 윤종규 지주 회장과 김옥찬 지주 사장, 양종희 케이비손해보험 대표이사 사장으로 압축했으나, 윤 회장을 제외한 나머지 2명이 인터뷰를 고사했다고 밝혔다. 확대위는 윤 회장을 상대로 26일 인터뷰를 통한 심층평가를 마친 뒤 이사회 추천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확대위 위원장을 맡은 최영휘 사외이사는 기자간담회를 열어 “애초 압축됐던 7명 가운데는 3명의 외부출신 후보가 있었는데 평가점수에 따라 순위를 매긴 결과 내부인사 3명이 최종후보에 올랐다”고 밝혔다. ‘현직 지주 회장과 상하관계에 있는 내부인사들이 경합을 포기하는 등 경쟁 공정성이 저해될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받자 최 위원장은 “내부 인사가 계속 최종 후보자가 된다면 그런 부작용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경영에 어느 정도 지속적인 경영 효율을 높이려면 최고경영자(CEO)가 자주 바뀌는 게 좋지 않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3년 임기간 본인이 열정을 바쳐 일했고 경영 결과가 동업계보다 나쁘지 않다면 한번 더 기회를 주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계열사 대표이사 등에 대한 경영승계 계획 수립과 변경을 하는 상시지배구조위원회에선 윤종규 회장이 위원장을 맡는 구조다.
7개 계열사 연합체인 케이비(KB)금융그룹 노동조합협의회 노조원들이 14일 저녁 지주 회장 최종후보군을 선정하는 확대지배구조위원회가 열리는 서울 케이금융 명동본점에서 연좌 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날 확대위가 열리는 건물 로비에선 7개 계열사 노조 연합체인 케이비금융그룹 노동조합협의회 소속 노조원들이 현재의 확대위 진행과정이 윤 회장 연임을 위한 요식행위에 가깝다면서 연좌농성을 벌였다. 케이비 노협 소속 노조원들은 지주 회장 선임과정과 관련해 “깜깜이 절차, 날치기 일정을 즉각 중단하라”면서 투명성과 공정성에 문제를 제기해왔다. 지난 2014년 회장 선임 땐 후보를 9명으로 압축한 단계부터 명단을 공개했고, 노조 등 이해관계자와의 간담회로 투명성을 높였는데, 이번엔 후보군 명단은 물론 확대위 초기에 회의 시간과 장소조차 공개하지 않는 등 ‘깜깜이 절차’로 진행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또 케이비 노협은 12일 자체적으로 실시했던 윤 회장 연임 찬반 설문조사에 회사 쪽이 ‘찬성몰표’로 조작 개입한 의혹이 있다면서 영등포경찰서에 업무방해 혐의 등으로 고소장을 제출했다. 노협 관계자는 “개입 혐의를 입증하기 위해 회사 내부인의 녹취록을 증거로 제출했다”고 전했다. 글·사진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