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의 문창용 사장이 1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취임 이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어 향후 공사의 비전과 사업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캠코 제공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가 금융공공기관이 보유한 가계 부실채권을 통합관리하기로 함에 따라 9월에 1조9천억원 정도의 부실채권을 사들이기로 했다. 캠코는 가계 부실채권 관리의 패러다임을 채무자 편의 중심으로 바꾸어 취약계층의 경제적 재기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14일 캠코 문창용 사장(사진)은 지난해 11월 취임 이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어 “금융회사 부실 해소와 금융소외자 재기 지원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캠코는 최근 금융공공기관 보유 개인부실채권 관리 일원화를 추진 중에 있다”면서 “금융공공기관의 채권을 캠코로 일원화함으로써 다중채무자는 개별 기관의 추심으로부터 벗어나 실질적인 자활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금융위원회가 지난 3월에 금융공공기관 부실채권 관리제도 개선방안을 확정함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캠코는 주택금융공사 등 7개 금융공공기관과 업무협약을 맺고 오는 9월에 1조9천억원의 채권을 1차로 인수하는 한편, 12월에 이들 부실채권의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문 사장은 “경제활동에서 낙오된 취약계층 채무자의 근본적인 재기를 돕기 위해서는 관리 패러다임을 채무자 중심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면서 민간·공공 영역을 아우르는 채권자 일원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폈다. 그는 또 정부의 장기·소액 연체 채권 소각 공약과 관련해 새로운 배드뱅크 설립 가능성을 질문받자 “그런 것까지 포함해 전체적으로 논의가 되지 않을까 한다. 아직 지침이 없지만, 캠코는 그 분야 노하우와 전문성을 쌓아왔다”고 강조했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