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옥 기술보증기금 이사장이 27일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춰 창업지원 전문기관으로 변화하기 위한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기술보증기금 제공
기술보증기금이 ‘4차 산업혁명’ 흐름에 발맞춰 창업기업 신규 보증을 확대함으로써 창업 플랫폼 기능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취임 100일을 맞이한 김규옥 기보 이사장(
사진)은 27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4차 산업혁명 과정에서 우리 사회가 고용없는 성장에 직면하지 않도록 새로운 영역의 유망한 기술 창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기보는 신용과 담보자산은 부족하지만 기술자산이 보유한 이들이 사업자금을 융통할 수 있도록 보증을 제공하는 정부 출연 기술금융 지원 공공기관이다. 지난해 말 기준 보증잔액은 21조원 수준이다.
김 이사장은 앞으로 “기술기반 창업과 4차 산업혁명에 선택과 집중을 하려 한다. 흔히 ‘데스 밸리’(Death Valley·죽음의 계곡)라고 부르는 3~7년차 창업 초기에 선진국에서도 기업 절반이 쓰러지고 우리 기업은 훨씬 더 많이 쓰러진다. 우리는 그런 기업들에 지원 역량 집중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기보는 현재 신규 보증 5조원 가운데 65%를 창업기업과 창업초기 기업에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 창업 플랫폼 전문기관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2020년까지 신규 보증 규모를 연간 10조원 수준으로 늘리고, 이 가운데 80%인 8조원을 창업기업과 창업초기 기업에 지원할 방침이다. 기보는 현재 보증액 가운데 부실률이 4.5%이지만, 창업기업 집중 지원을 추진할 경우 부실률이 1%포인트가량 올라가는 게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기보는 또 창업기업에 대한 보증뿐 아니라 직접투자도 늘려갈 계획이다. 김 이사장은 “창업기업에 융자를 줘서 실패 뒤 창업자가 신용불량자가 되면 재기가 어려워지며, 세계적 추세는 융자보다는 투자라는 얘기가 있다. 기보는 법으로 기본재산의 10%만 직접투자를 할 수 있게 돼 있지만, 기본재산이 확충되고 법 개정을 통해 투자 한도가 커지면 보증과 투자를 적절하게 안배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기보는 올해 투자 목표액은 400억원으로 잡고 있지만, 2020년까지 이를 3천억원 수준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