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점장 전결금리 등
고객우대도 줄이기로
제2금융권 몰릴 우려
고객우대도 줄이기로
제2금융권 몰릴 우려
시중은행들이 가계대출의 상환을 적극 유도하기로 했다. 또 지점장 전결금리, 특판금리 등의 고객 우대 대출을 줄이기로 했다. 일부 시중은행들의 신규 가계대출 중단에 뒤이은 움직임이어서 가계대출 위축과 실질금리 인상을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21일 “금융감독원이 19일 시중은행 실무자들을 불러모아 가계대출 연착륙 방안을 논의했다”고 전했다. 금감원은 이 자리에서 신규 대출 중단보다 기존 대출의 상환을 유도해 대출 증가를 억제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대출 상환 독려, 우대금리 대출 축소 등을 통한 가계대출 축소 계획을 마련중이다.
시중은행들은 일반 대출보다 1~2%포인트 낮은 지점장 전결금리 등의 대출을 줄여나가기로 했다. 또 낮은 금리를 제시해 다른 은행 고객들을 끌어오는 대환대출이나, 우대금리를 적용하는 신규 입주 아파트 집단대출, 의사·변호사·공무원 등 특정 직업군을 대상으로 한 특판 대출상품을 자제하기로 했다. 우리은행 등은 예금담보 대출의 특별상계를 검토하고 있다. 예금을 담보로 대출을 받은 고객이 예금을 중도해지해 빚을 갚으면 중도해지 이율이 아닌 만기 금리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신한은행, 우리은행은 기존 대출을 고정금리 대출과 즉시 분할상환대출로 전환하면 금리를 깎아줄 예정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금리가 낮다 보니 필요 자금이 100 수준인데 120을 받은 이들이 있다”며 “주가 폭락 때마다 한도 대출(마이너스 대출)이 늘어나는 것으로 보아 대출금이 주식시장으로 많이 흘러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수요를 넘어서는 대출을 받았거나 대출금으로 주식에 투자한 이들을 우선적인 빚 독촉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뜻이다.
시중은행들이 신규 대출 억제에 이어 기존 대출의 상환을 독려하고 나섬에 따라 은행의 대출창구가 경색되고 실질금리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워진 고객들이 상호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으로 몰려가는 이른바 ‘풍선 효과’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신규 대출 중단을 둘러싼 파열음도 이어지고 있다. 금융감독 당국에서 대출 중단 방침을 철회하도록 지도하고 있지만, 농협 등 일부 은행의 일선 영업 창구에서는 신규 대출이 사실상 막혀 있는 상태다.
김영배 기자 kimyb@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