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이 온라인에서 신용대출 상품을 갈아탈 수 있는 플랫폼이 이달 말 개시된다.
금융위원회는 12일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의 구축상황 점검을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고 이날 밝혔다. 이는 금융위가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이자부담 경감 방안 중 하나로, 소비자가 오프라인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고도 더 낮은 금리의 대출상품으로 손쉽게 갈아탈 수 있게 한다는 취지다.
신용대출 차주들은 이달 말부터 온라인 대환대출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다.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 핀다 등 최소 4개사가 오는 31일 플랫폼 서비스를 개시한다. 대환대출 인프라에 참여하는 금융회사는 은행·저축은행·카드·캐피탈 등 53개사인데, 이들 회사의 기존 대출 고객이기만 하면 어떤 플랫폼이든 제한 없이 쓸 수 있다. 중도상환 수수료, 우대금리 등의 정보도 플랫폼에서 확인 가능하다.
플랫폼마다 갈아탈 수 있는 대출상품의 범위는 차이가 있을 전망이다. 플랫폼 회사별로 취급하는 신규 대출상품의 목록이 조금씩 달라서다. 대환대출 인프라에 참여하는 금융회사는 총 53개사인 반면, 플랫폼별로 제휴된 금융회사는 10∼20개 수준이다. 소비자가 최적의 상품을 찾기 위해서는 플랫폼을 3∼4개 동시에 이용하며 비교해야 할 수 있다는 뜻이다.
플랫폼 수수료도 관심사다. 대환대출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은 대출금액의 일정 비율을 금융회사에 수수료로 물린다. 수수료가 높은 수준에 형성될 경우 금융회사의 수수료 부담이 소비자에게 전가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반대로 플랫폼 서비스의 수익성이 지나치게 떨어지면 시장 활성화가 더딜 수 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이번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의 목적은 투명하고 공정한 경쟁을 통해 소비자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것”이라며 “과도한 수수료 부담을 소비자에 지우거나 금융업계의 건전한 영업, 시장 안정을 저해하는 행태가 나타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