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금융·증권

기준금리 올랐는데도…예금·대출 금리 2개월 연속 하락세

등록 2023-02-28 12:00수정 2023-02-28 15:30

연합뉴스
연합뉴스
전달에 이어 올해 1월에도 예금·대출 금리가 하락세를 나타냈다. 기준금리 인상에도 시장금리가 전반적으로 떨어진 데다 금융당국의 권고로 은행 간 예금 유치 경쟁도 잠잠해진 탓이다. 예대금리차는 한 달 만에 확대 추세로 전환했지만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서는 작았다.

28일 한국은행 발표를 보면, 지난 1월 예금은행의 대출 가중평균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5.46%로 전달보다 0.10%포인트 떨어졌다. 이로써 대출금리는 지난해 11월 5.64%에서 12월 5.56%로 내려온 이후 두 달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지난 1월13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지만 대출금리는 반대로 떨어진 것이다. 이는 은행채 금리 등 지표가 되는 각종 시장금리가 하락세를 나타낸 데 기인한다.

이번에는 기업보다 가계 쪽 대출금리가 더 큰 내림폭을 기록했다. 가계대출 금리는 5.60%에서 5.47%로 떨어지며 20개월 만에 처음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지난해 하반기 인터넷전문은행들이 연말 목표치를 채우기 위해 중저신용자 대출을 늘리며 가계대출 금리 오름세를 이끌었는데 올해 들어서면서 그런 현상이 사라진 것이다. 특히 일반신용대출이 0.76%포인트 떨어졌고, 주택담보대출은 0.05%포인트 하락했다. 기업대출도 0.09%포인트 내려온 5.47%를 기록했다.

저축성수신 금리는 3.83%로 0.39%포인트 떨어졌다. 은행 간 수신 경쟁이 완화하고 시장금리가 하락한 영향이다. 특히 순수저축성예금 금리는 정기예금을 중심으로 4.29%에서 3.87%로 하락했다. 지난해 10월(3.96%) 이후 처음으로 3%대로 내려왔다.

그러면서 예대금리차는 0.29%포인트 확대된 1.63%포인트를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1.35%포인트에서 12월 1.34%포인트로 축소됐다가 다시 확대 추세로 전환한 것이다. 이는 지난해 5월(1.66%포인트)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1.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2.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퇴근 뒤 농사지으러 갑니다”…도시에서 찾은 자급자족의 길 3.

“퇴근 뒤 농사지으러 갑니다”…도시에서 찾은 자급자족의 길

최상목, 트럼프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대책 논의 4.

최상목, 트럼프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대책 논의

2년 연속 대규모 ‘세수 결손’…지난해 30조8천억원 부족 5.

2년 연속 대규모 ‘세수 결손’…지난해 30조8천억원 부족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