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통화량이 전달보다 6조원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9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한 것이다. 연말에 기업자금이 유동성이 낮은 장기 금융상품으로 이동한 결과로 풀이된다.
14일 한국은행 발표를 보면, 지난해 12월 광의통화(M2) 평균잔액(계절조정)은 3779조원으로 한 달 전보다 6조3천억원(0.2%) 줄었다. 지난해 3월(-0.1%) 이후 처음으로 감소 추세를 나타냈다. 광의통화(M2)는 통화량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현금과 요구불예금은 물론 현금화가 쉬운 만기 2년 미만의 정기 예·적금과 각종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지난달 광의통화가 감소한 것은 기업들이 자금을 만기 2년 이상의 금융상품으로 옮긴 결과로 추정된다. 경제주체별로 보면, 기업들이 들고 있는 광의통화가 18조9천억원 줄며 감소세를 이끌었다. 한은은 기업들이 금전신탁에서 돈을 빼 장기 금융상품으로 옮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만기 2년 미만 금전신탁의 감소액(14조5천억원)은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가계·비영리단체 부문의 광의통화는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계속되면서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11조1천억원 늘었다. 기타 부문도 3조4천억원 증가했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이 본격화한 이후 통화량은 둔화 추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광의통화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지난해 1월 12.7%에서 꾸준히 하락세를 그려 12월 4.5%까지 내려왔다. 민간신용 증가세가 둔화한 영향 등으로 풀이된다. 광의통화보다 범위가 넓은 광의유동성의 증가율도 같은 기간 10.0%에서 4.4%로 떨어졌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