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금융·증권

개미들 1월에도 ‘채권 싹쓸이’…5대 증권사만 5조 판매

등록 2023-01-29 16:44수정 2023-01-29 16:50

지난해 1월 개인 채권 리테일의 1.7배
개인 1월 장외채권 순매수 2조3천억, 10배↑
은행채 견본. 한겨레 자료사진
은행채 견본. 한겨레 자료사진

개인투자자들이 올들어서도 5대 증권사를 통해 5조원 이상의 채권을 매입하며 채권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다.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2~26일 미래에셋·삼성·한국투자·케이비(KB)·엔에치(NH)투자증권 등 5대 증권사의 개인 대상 리테일(소매금융) 채권 판매액은 총 5조123억원으로 집계됐다. 고액 자산가들이 주로 투자하는 전자단기사채(전단채)와 해외채권 규모 가운데 일부는 공개되지 않아 이 상품들까지 포함하면 개인의 채권 매수 규모는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1월 5대 증권사의 개인 상대 리테일 채권 판매액(3조243억원)의 1.7배다.

금융투자협회가 장외 채권시장에서 집계하는 개인의 채권 순매수액도 지난해보다 증가했다. 이달 2∼26일 개인투자자의 채권 순매수액은 2조3173억원(매수액 2조5312억원, 매도액 213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순매수액(2033억원) 대비 10배 이상 늘었다. 채권 유형별 순매수 규모는 은행을 제외한 금융사 채권인 기타금융채(9461억원), 회사채(6578억원), 국채(3723억원), 은행채(1542억원), 자산유동화증권(ABS·794억원), 특수채(621억원) 순이었다.

증시가 부진하자 주식 등 위험자산에서 채권·예금 등 안전자산으로 돈이 쏠리는 ‘역머니무브’ 현상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최근 시중금리가 하락하고 역머니무브가 마무리 국면에 이르렀다는 전망이 대두되고 있어 채권 투자는 각자의 자산 규모에 따라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의성 미래에셋증권 반포지점장은 “작년에 개인투자자들에게 인기 있었던 한국전력채 금리는 5%대 후반에서 3%대까지 떨어졌다. 금리가 더 떨어지리라는 전망 때문에 고액 자산가 중심으로 만기가 긴 채권에 대한 수요는 여전하다”고 말했다.

홍성배 엔에이치(NH)투자증권 전문위원은 “전체 자산에서 주식형 상품(펀드 포함) 비중을 50% 이상, 채권은 30%, 주가연계증권(ELS)은 20% 정도로 포트폴리오 구성을 추천한다”며 “금리 하락세가 완연한 만큼 채권은 만기가 긴 것을 매수하길 권고한다“고 말했다.

조계완 선임기자 kye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1.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2.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3.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사법 리스크보다 경영 리스크…2심 무죄 이재용과 삼성전자 4.

사법 리스크보다 경영 리스크…2심 무죄 이재용과 삼성전자

트럼프 관세 전쟁의 충격, 아시아 금융시장 출렁 5.

트럼프 관세 전쟁의 충격, 아시아 금융시장 출렁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