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지난 6월 서울 시내 한 은행 창구 모습. 연합뉴스
내년도 금융산업이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이라는 ‘3고’에 가로막혀 성장세가 둔화하고 건전성이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상 최고 수준인 가계부채와 저금리 국면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한계기업,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리스크 등 구조적 취약점이 표면화할 수 있어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6일 ‘2023년 금융 산업 전망 보고서’를 통해 “2023년은 금융위기 직후와 일부 유사하나 고금리, 고물가, 저성장의 경기불확실성 증대로 금융업 성장이 둔화할 것”이라며 “과잉된 대출이 명목 지디피(GDP) 성장률로 수렴하는 반면 조달비용 증가로 금융회사의 수익성, 건전성은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금융업권의 총 순영업수익(영업이익+판관비)이 올해 129조2천억원에서 내년 131조1천억원으로 소폭 늘어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류창원 연구위원은 “시장 금리가 예금과 대출 금리에 반영되는 속도에 차이가 있다보니 갭이 벌어졌는데, 내년도 들어서는 시장 금리 인상분이 조달 비용에도 충분히 반영되기 시작하면서 은행들의 조달 여건이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은행 대출증가율도 올해 5.3%에서 내년 4.3%로 더 꺾일 것으로 봤다.
특히 지난 6월 말 기준 1869조원에 이르는 가계부채와 10여년 사이 37% 늘어 3752개에 이르는 한계기업 등 저금리 국면에서 두드러지지 않았던 구조적 리스크가 금융권 부실로 이어지는 도화선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0여년 새 갑절로 늘어 112조원 규모로 성장한 금융사의 부동산 피에프 대출에서도 지방 건설사업장 등을 중심으로 부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짚었다.
백종호 연구위원은 “지난 10년간 건전성이 하향 안정화되었으나, 2023년은 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금융회사들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남지현 기자
southj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