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금융·증권

“신용 올랐으니 대출금리 내려줘요”…제일 안 들어준 은행은?

등록 2022-08-30 16:15수정 2022-08-31 02:52

30일 금리인하요구권 수용 현황 첫 비교 공시
은행·저축은행연합회 누리집 등서 확인 가능
지난 25일 서울의 한 은행 앞 대출 현수막. 연합뉴스
지난 25일 서울의 한 은행 앞 대출 현수막. 연합뉴스

은행들의 금리인하요구권 수용 현황이 30일 처음 공표됐다. 금리인하요구권은 이직·승진 등으로 대출 시점보다 소득이 올라 상환 능력이 개선되거나 신용 점수가 오른 차주가 금융 회사를 상대로 이자를 낮춰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다.

은행연합회가 30일 누리집을 통해 공시한 금융기관별 금리인하요구권 운영실적에 따르면 올 상반기 시중은행 가운데 케이뱅크의 가계 대상 이자감면액이 53억56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카카오뱅크(29억1300만원), 신한은행(27억8800만원), 토스뱅크(19억2700만원), 하나은행(11억9400만원)이 뒤를 이었다. 수용 건수로는 카카오뱅크(8만7006건), 신한은행(3만2218건), 케이뱅크(2만7661건), 케이비(KB)국민은행(1만2718건), 토스뱅크(1만897건) 순이었다.

수용률(수용건수/요구건수)은 엔에이치농협은행(60.5%), 스탠다드차트은행(48.8%), 우리은행(46.1%) 순으로 높았다. 5대 은행(케이비국민·신한·하나·우리·엔에이치농협) 중엔 신한은행의 수용률이 29%로 가장 낮았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비대면으로 금리인하를 요구할 수 있어 금리 요건을 갖추지 못한 차주 신청이나 중복 신청도 전체 신청 건수에 합산돼 수용률이 낮게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케이뱅크(24.6%)와 카카오뱅크(19%), 토스뱅크(17.8%) 등 인터넷은행들도 낮은 수용률을 보였다.

가계와 기업을 합했을 때는 기업 대출 비중이 높은 아이비케이(IBK)기업은행이 가장 많은 이자(458억900만원)를 감면해준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과 신용카드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의 금리인하요구권 수용 현황은 각각 저축은행중앙회와 여신금융협회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은행권은 앞으로 최소 연 2회(반기별) 금리인하요구권 수용 현황을 공개한다.

남지현 기자 southj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1.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2.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3.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4.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5.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