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금융위원장이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금융시장 전문가 간담회를 열고 국제금융센터 원장, 경제·금융시장 관련 민간 전문가 등과 국내 경제·금융시장 동향 및 리스크 요인에 대해 논의했다. 금융위원회
경제 전문가들이 김주현 금융위원장을 만나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적극적인 정책 대응을 요청했다.
김 위원장은 25일 경제·금융시장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갖고 “현재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통화긴축, 지정학적 갈등과 공급망 교란 등이 중첩되면서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복합위기 국면”이라며 “시장 전문가분들과 상황을 함께 진단하고,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간담회에서 경기 침체 가능성이 커졌다고 경고했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여파로 우리 경제가 삼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에 시달리고 있다”며 “주요국의 통화 긴축으로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은 점차 해소될 것으로 보이나, 2023년부터 ‘자산가격 거품붕괴→소비둔화’가 동반되면서 미국 경제를 중심으로 세계 경기 침체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자산배분 파트장도 “미국 정책금리가 3%를 넘어설 수 있는 9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까지 인플레이션 진정세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경기 침체 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책 대응의 우선순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최재영 국제금융센터 원장은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긴축 기조라는 공통 환경 아래에서 우리 경제에 주어진 선택지는 제약을 받고 있다”며 “제한된 선택지하에서 대응 정책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의 청사진을 정확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글로벌 긴축에 부합하는 정책 기조를 지속하되, 그 과정에서 발생할 경제 주체들의 고통을 명확히 설명하고 해결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용상 한국금융연구원 금융리스크센터장은 “인플레이션·경기둔화에 대비해 가계·자영업 부채, 부동산 금융 등 취약부문 리스크를 중점 관리하고, 금융기관의 손실흡수능력도 선제적으로 강화해 나가야 한다”며 “민생안정 금융지원과 함께 성실 상환자 인센티브 강화 등 서민금융 지원체계 개선을 통해 취약계층 지원의 효율성 개선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