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금융·증권

외환보유액 세계 8위…4월 말 4493억달러로 85억달러 감소

등록 2022-05-04 05:59수정 2022-05-04 09:51

한은 “달러 강세·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 영향”
지난 4월2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1272.0원에 개장했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연합뉴스
지난 4월2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1272.0원에 개장했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연합뉴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지난 4월 말 기준 4493억달러로 3월 말 대비 85억달러 감소했다. 3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8위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4일 “4월 말 외환보유액은 미국 달러화 강세에 따라 유로화·엔화 등 우리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미 달러화 환산액이 감소했고,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처 등에 따라 전월 대비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외환보유액 구성은 유가증권 4088억3천만달러(91.0%), 예치금 162억5천만달러(3.6%),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 149억8천만달러(3.3%), 금 47억9천만달러(1.1%), 국제통화기금 포지션(IMF 회원국이 출자금 납입·융자 등으로 보유하게 되는 IMF 관련 청구권) 44억5천만달러(1.0%)다. 예치금은 3월 말 228억1천만달러에서 65억6천만달러 감소했다.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를 위한 외환당국의 시장 개입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4월 중 유로화·파운드화·엔화의 미 달러화 대비 환율 변동률은 -5.2~-6.8%(가치 절하)에 달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10월 말(4692억1천만달러)에 사상 최대를 찍은 뒤 계속 줄어들고 있다. 3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중국(3조1880억달러), 일본(1조3561억달러), 스위스, 인도, 러시아, 대만, 홍콩에 이어 세계 8위 수준이다.

조계완 선임기자 kye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2년 연속 수십조 결손 1.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2년 연속 수십조 결손

한국 철강에 ‘트럼프발 관세전쟁’ 회오리 2.

한국 철강에 ‘트럼프발 관세전쟁’ 회오리

세수 예측 실패, 20조원은 집행도 못했다 3.

세수 예측 실패, 20조원은 집행도 못했다

미국 증시 ‘고평가론’ 확산…M7 비틀대고 관세전쟁 먹구름 4.

미국 증시 ‘고평가론’ 확산…M7 비틀대고 관세전쟁 먹구름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5.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