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그룹은 23일 카이스트와 2050 탄소중립을 위한 ‘ESG 미래전략’ 업무 협약식(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진 왼쪽부터 하나금융그룹 미래전략위원회 송병준 위원, 이택경 위원, 이승훈 위원, 이성열 위원, 하나금융그룹 김정태 회장, 카이스트 이광형 총장, 카이스트홀딩스 최성율 대표, 하나은행 박성호 행장, 카이스트 김경수 기획처장, 이재우 교수, 배종성 교수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하나금융그룹(회장 김정태)이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과 함께 2050년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하나금융은 24일 “카이스트와 기후변화 문제 해결, 저탄소 에너지 경제로의 전환, 신재생 에너지 확대 등을 목표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두 기관은 세계적 탄소 중립 흐름에 발 맞춰 ESG 신기술 개발 및 가치 창출을 목표로 산학협력을 추진한다.
하나금융은 탄소 중립 기술을 연구하기 위해 탄소(Carbon)를 포집(Capture), 활용(Utilization), 저장(Storage)하는 ‘CCUS 기술’의 일환인 인공광합성 분야 연구에 적극적으로 협력, 지원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하나금융그룹은 기초과학 및 융합기술 등 학술 활동 지원을 위해 카이스트에 100억원을 기부하고, 인공광합성 연구소 공동 설립 투자금 몫으로 100억원을 지원한다.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최근 탄소 중립이 국제사회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탄소를 활용할 수 있는 미래 기술 상용화가 시급한 상황이다”며 “이번 하나금융그룹과 카이스트의 업무협약은 탄소 중립을 위한 미래기술 상용화와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