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금융·증권

원-달러 환율 1200원선 ‘위태’

등록 2022-01-05 16:15수정 2022-01-06 02:35

무역수지 악화 우려에
장중 1199.7원까지 올라
5일 서울외환시자에서 원-달러 환율이 나흘째 오르며 1196.9원으로 마감했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연합뉴스
5일 서울외환시자에서 원-달러 환율이 나흘째 오르며 1196.9원으로 마감했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연합뉴스
원화 가치가 나흘 연속 약세를 보이며 달러당 1200원선이 위협받았다. 무역수지 악화와 달러 유동성 축소 우려가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5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2.8원 상승(원화가치 하락)한 1196.9원으로 마감했다. 지난해 10월12일(1198.8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날 환율은 장중 1199.7원까지 올라 1200원에 바짝 다가서기도 했다. 환율이 1200원을 넘은 건 2020년 7월24일(1201.5원)이 마지막이다.

환율 상승은 일차적으로 달러 강세 영향을 받았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 발걸음이 빨라질 것이라는 관측으로 미 국채금리가 상승하면서 달러를 밀어올렸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4일(현지시각) 연 1.647%로 마감해 지난해 11월23일(1.665%) 이후 가장 높았다. 연준은 자산매입 규모를 축소하는 테이퍼링을 1분기까지 마칠 예정이다. 달러 유동성의 추가 공급이 중단된다는 뜻이다. 앞으로 한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가 축소될 것이라는 전망도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한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0~.0.25%)를 모두 3차례 올릴 것으로 예상한다. 반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1.00%) 인상은 1~2회가 될 것으로 내다본다.

미국의 긴축과 달러 강세만으로 최근의 원화 약세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원화는 지난달 중순을 지나며 약세로 기울었다. 이날 원화가치는 지난달 17일과 견줘 1.36% 떨어졌다. 그런데 같은 기간 달러화 가치는 강세가 아닌 약세(-0.28%)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최근 원화 약세의 주요 원인이 수출 증가세 둔화와 무역수지 적자에 있다고 판단한다. 지난달 무역수지는 원자재와 에너지 가격의 동반 상승으로 20개월만에 적자(5억8600만달러)로 돌아섰다. 하루 평균 수출증가율도 15.9%에 그쳐 전월(26.5%)보다 크게 꺾였다. 무역수지 흑자폭 등 수출입 지표는 외화 유출입 측면에서 원화 환율 변동에 영향을 준다. 유안타증권 자료를 보면, 지난 한해 무역흑자(295억달러) 규모는 코로나19 이전 시기(2015~2019년)의 연평균 흑자(766억달러)와 견주면 40%에도 못미친다. 수출(25.8%)보다 수입(31.5%)이 더 많이 늘었기 때문이다. 정원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수출입물가를 감안한 교역조건도 녹록치 않아 원화는 당분간 약세를 띨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광덕 선임기자 kd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1.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2.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2년 연속 수십조 결손 3.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2년 연속 수십조 결손

공간 활용도 뛰어난 일체형 세탁건조기, 성능은 어떨까? 4.

공간 활용도 뛰어난 일체형 세탁건조기, 성능은 어떨까?

한국 철강에 ‘트럼프발 관세전쟁’ 회오리 5.

한국 철강에 ‘트럼프발 관세전쟁’ 회오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