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계대출 억제를 위해 대출원리금 분할상환 관행을 확대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1일 가계부채 관리 태스크포스 1차 회의를 열어 “가계부채 위험 완화를 위해 국내 가계대출 관행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논의 과제로 ‘분할상환 관행 확대’를 제시했다.
금융위는 원리금 분할상환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제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판단한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분할상환이 의무화된 은행권 개별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2016년 말 276조2천억원에서 올해 9월말 269조4천억원으로 0.2% 감소했다.
금융위는 “미국·영국은 거의 모든 가계대출에 분할상환을 적용하고, 호주는 일시상환 대출금리를 0.55%포인트 인상하도록 권고한다”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전세자금대출과 관련해서는 “불요불급한 전세대출이 과도하게 취급되지 않도록 금융권 스스로 꼼꼼히 대출심사하는 방안을 지속해서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이어 “금융회사들의 대출 관리체계 내실화를 통해 대출중단 등 실수요자 불편을 초래하지 않도록 촘촘히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