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금융·증권

천장 뚫린 국제유가 여파로 환율 장중 1200원 넘었다

등록 2021-10-12 17:50수정 2021-10-13 02:35

환율 장중 1200원 넘고 코스피는 2900 흔들
유럽선 탄소중립 가속화 전화위복 계기 삼아
코스피가 1% 넘게 하락한 12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35%(39.92),내린 2916.38,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2.96포인트(1.36%) 내린 940.15에 마감했다. 연합뉴스.
코스피가 1% 넘게 하락한 12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35%(39.92),내린 2916.38,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2.96포인트(1.36%) 내린 940.15에 마감했다. 연합뉴스.

국제유가 급등에 원-달러 환율이 1년 2개월여만에 장중 1200원을 넘어서는 등 금융시장이 다시 크게 흔들렸다.

12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4.2원 상승(원화가치 하락)한 1198.8원으로 장을 마쳤다. 이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동결을 발표한 뒤 오전 한때 1200.4원까지 치솟았다. 환율이 장중 1200원선을 넘어선 건 지난해 7월28일(1201원) 이후 처음이다. 환차손을 우려한 외국인이 국내 증시에서 9800억원이 넘는 주식을 순매도한 영향으로 코스피는 한때 2901.51까지 밀려났다 결국 1.35%(39.92) 하락한 2916.38로 마감했다. 삼성전자 주가는 7만원이 무너졌다. 반도체 가격 하락 우려로 3.5% 급락한 6만9천원으로 마감해 지난해 12월1일(6만7800원)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에너지 대란 유가 상승 어디까지

국제유가가 7년만에 배럴당 80달러를 돌파한 영향이 컸다. 11일(현지 시각)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1.47% 오른 80.52달러로 마감해 2014년 10월31일 이래 처음 80달러 위로 올라섰다.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불거지며 안전자산인 달러 가치가 강세로 돌아서 원화를 약세로 몰아넣었다.

원유 가격 상승세는 수급 불균형으로 연말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북반구의 겨울철이 다가오며 수요는 증가하는데 산유국들은 추가 증산 보류를 고수하고 있어서다. 천연가스 공급 부족도 유가에 영향을 주고 있다. 유럽과 아시아에서 천연가스와 석탄 등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일부 수요가 석유로 몰렸기 때문이다. 사우디 석유회사 아람코는 천연가스 부족으로 원유 수요가 일간 50만 배럴 증가한 것으로 추산한다. 국제 투자은행들은 원유 공급의 신속한 확대가 이뤄지지 않으면 유가가 90~100달러 수준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본다.

근본적으로는 화석연료 억제와 청정에너지 확대로 대변되는 세계적 에너지 패러다임의 대전환이라는 구조적 요인이 자리잡고 있다. 유럽은 전력난을 탄소중립을 가속화하는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고 있다. 함형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영국 등 유럽국가들은 화석발전을 보충해 일시적으로 전력 안정화를 꾀하기보다는, 이참에 이상기후의 원인을 제거한다는 차원에서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경제와 금융시장 영향은

에너지 위기가 장기화할 경우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에 따른 소비 부진과 기업실적 악화로 경기회복이 저해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일부에선 물가는 뛰지만 경기가 침체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하지만 세계경제가 1970년대와 같은 심각한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에 직면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의견이 더 많다. 한 예로 미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1970년대 물가상승률은 10%를 웃돌았지만 지금은 3~6% 수준이며, 당시 미국 경제는 마이너스 성장했지만 올해는 6% 안팎 성장이 예상돼 큰 차이가 있다”라는 의견을 내놨다.

다만 원자재발 물가 급등 속에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다음달부터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에 나서면 신흥국은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며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도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며 ‘원화 약세→외국인 매도→주가하락’이라는 악순환에 빠져들 위험이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원자재 가격 상승과 생산비용 증가로 내수회복이 지연되지 않도록 물가관리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광덕 이본영 기자 kd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1.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트럼프 관세’ 다음 타깃은 자동차·반도체…수출기업 비상 2.

‘트럼프 관세’ 다음 타깃은 자동차·반도체…수출기업 비상

금값 급등에 수급 차질…조폐공사, 골드바 판매 중단 3.

금값 급등에 수급 차질…조폐공사, 골드바 판매 중단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4.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5.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