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호·사회책임·지배구조(ESG)가 국내외 경영계의 주된 흐름을 이루고 있다고 하나, 아직은 실체가 모호하고 추상적으로 들린다는 얘기가 많다. 기업 홍보용이고 거품이 끼었다는 비판에 기업별 이에스지 경영 평가 결과에 대한 시비도 자주 인다. 코로나19 사태에 얽혀 당장 생존을 걱정해야 할 중소기업들엔 사치처럼 들린다는 푸념도 나올법하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통상자원부가 24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연 ‘이에스지 경영 포럼’에서 중심으로 삼은 주제는 ‘중소기업 이에스지 경영 필요성 및 전략’이었다.
이날 포럼 발제자로 나선 이광욱 법무법인 화우 변호사는 “국내 기업의 이에스지 대응 수준에 대한 전문가 조사 결과 선진국 10점을 기준으로 대기업은 7점, 중견기업이 5점, 중소기업은 4점에 그쳤다”면서 “중소기업은 자원과 역량이 한정된 만큼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변호사는 “비용 부담이 큰 환경(E)이나 개별기업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 지배구조(G)보다는 상대적으로 실행에 부담이 적은 사회책임(S)에 집중해 접근하는 것이 유리하다”며 “중소기업진흥법상 ‘사회적 책임경영’이 명시되어 있는 만큼 향후 중소기업 이에스지 법규나 가이드라인도 사회책임을 중요한 요소로 삼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정남 삼정케이피엠지(KPMG) 상무는 주제 발표에서 “최근 이유(EU·유럽연합)에서 공급망 이에스지 관련 규제 논의가 본격화되는 등 압력이 강해지는 추세”라면서 “이에스지 경영은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에도 중요한 이슈”라고 말했다. 김 상무는 “중소기업들은 아직 준비가 미흡한 상황으로 대기업들을 비롯해 경제단체나 산업별 협회, 정부 등이 협력하여 우리 산업의 전반적인 이에스지 대응 역량을 강화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대기업들이 공급망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의 이에스지 경영을 지원하면 중소기업의 이에스지
역량도 키우고 대기업의 이에스지 리스크도 줄일 수 있다”면서 “상공회의소에서도 교육이나 컨설팅 등 중소기업 이에스지 지원 프로그램을 준비해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황수성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은 “국내 중소기업들의 이에스지 경영 확산과 방향 제시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정립할 예정”이라며 “대‧중소기업의 이에스지 협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구성 지원, 역량 제고 프로그램’ 운영 등 지원방안 마련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