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15일 청와대에서 열린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서명식에 참석해 서명을 마친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세계 최대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일컬어지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에 대한 국회의 비준 동의를 하반기에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 이경식 에프티에이 교섭관은 이날 무역협회를 비롯해 제조업 분야 협회 관계자들과 만난 간담회 자리에서 “업계와 지속적인 소통과 협의를 바탕으로, 이 협정을 활용해 우리 기업에 기회가 될 수 있는 부분을 발굴하고, 협정의 국회 비준 동의 요청을 올해 하반기에 차질없이 진행하도록 준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제동반자협정에는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가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최종 협상 타결에 이르렀고 국회 비준을 비롯한 국내 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15개 가입국의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2019년 기준 25조6천억달러로 전세계 지디피의 30% 수준에 이른다. 인구 규모는 22억6천만명으로 이 또한 전세계 30%를 차지한다.
산업부는 이 협정에 따라 “아세안 상품 시장이 추가 개방돼 자유화율이 92~95%에 이르고 게임·영화 등 서비스 시장 개방으로 국내 기업의 진출이 가속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미국과 중국에 치중된(우리나라 수출의 39% 차지) 교역 구조를 다변화하고, 전자상거래 등 비대면 서비스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 자료를 보면, 지난 30년간 한-아세안 교역은 30배, 투자 40배, 상호방문객 수는 40배 증가했다.
이날 간담회는 협정의 국회 비준 동의 요청을 위한 국내 절차 진행 상황을 업계와 공유하고 지원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을 위해 마련됐으며, 추가로 농수산 분야 업계 간담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라고 산업부는 밝혔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