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스페이스 허브와 카이스트(KAIST)가 17일 대전 카이스트에서 우주연구센터 설립 협약식을 열었다. 왼쪽부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신현우 대표이사, 카이스트 이광형 총장, 한화시스템 김연철 대표이사, ㈜한화 김승모 대표이사. 한화 제공
한화그룹의 우주 산업을 총괄하는 '스페이스 허브(Space Hub)'가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공동으로 우주연구센터를 설립했다. 한화는 카이스트 연구부총장 직속으로 설립되는 연구센터에 1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민간 기업과 대학이 함께 만든 우주 분야 연구센터로는 국내 최대 규모라고 한화 쪽은 밝혔다.
스페이스 허브는 올해 3월 한화그룹 내 우주 산업을 총괄하기 위해 출범한 조직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 한화, 쎄트렉아이 등이 참여하고 있다. 한화 김승연 회장의 장남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이 팀장을맡고 있다.
스페이스 허브와 카이스트의 첫 연구 프로젝트는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위성간 통신기술’(ISL) 개발이다. 이 기술은 레이저를 활용해 위성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로, 저궤도 위성을 통한통신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필수적이라고 회사 쪽은 설명했다. 이를 활용하면 여러 대의 위성이 레이저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고용량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고, 운항 중인 비행기나 배, 전기가 들어가지 않는 오지에서도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우주연구센터는 아이에스엘 프로젝트와 더불어 민간 우주 개발과 위성 상용화에 속도를 높일 다양한 기술을 함께 연구한다. 발사체 기술과 위성 자세 제어 및 관측 기술, 우주 에너지 기술 등이 포함된다. 카이스트 연구처는 "단순한 산학 협력을 넘어선 실질적인 상용화 기술을 개발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면서 "국내 우주 산업이 민간 주도의 뉴 스페이스 시대를맞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