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주요 이에스지(ESG, 환경보호·사회책임·지배구조) 평가기관 사이의 평가 등급 격차가 총 7단계 중 최대 5단계까지 벌어질 정도로 들쑥날쑥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26일 내놓은 보고서 ‘이에스지 평가 동향과 시사점’을 보면, 국내 매출액 100대 기업 중 국내외 이에스지 평가기관 세 곳 모두에서 등급(점수)을 받은 55개 기업의 등급 차이는 평균 1.4단계로 나타났다. 여기서 평가기관 세곳은 모건스탠리캐피털 인터내셔널(MSCI), 레피니티브(옛 톰슨로이터),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다.
평가기관별 격차가 3단계 이상인 기업만 해도 22개사로 전체의 40%에 이르렀다. 가장 큰 격차는 현대제철에서 나타났다. 엠에스씨아이는 ‘CCC’(총 7단계 중 맨 밑바닥)로 평가한 반면 레피니티브는 ‘AA’(100점 만점 체계를 7단계로 환산해 두 번째 단계)로 점수를 매겨 5단계나 벌어졌다. 기업지배구조원은 4단계인 ‘BBB’(지배구조원 자체 평가 체계에선 ‘B+’)로 평가했다. 엠에스씨아이와 레피니티브의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현대제철에 뒤이어 격차가 크게 나타난 곳은 기아자동차, 현대자동차, 삼성중공업으로 각각 4단계나 벌어졌다.
글로벌 기업에서도 이런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세계 1위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이에스지 상장지수펀드(ETF)를 구성하는 217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엠에스씨아이와 래피니티브의 평균 등급차는 1.0단계였다. 3단계 이상 차이를 보인 기업은 17개, 2단계 차이는 28개사였다.
평가기관별 점수 격차는 평가항목·기준이 서로 다른데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엠에스씨아이의 평가 항목은 ‘기후변화, 천연자원, 오염·폐기물, 환경적 기회’인데 견줘 기업지배구조원은 ‘환경전략, 환경조직, 환경경영, 환경성과, 이해관계자 대응’으로 평가 항목을 짜고 있다. 레피니티브의 항목은 ‘자원사용, 배출, 제품혁신’이었다. 전경련은 또 가점과 감점(부정적 이슈 발생) 방식을 적용하는 틀은 유사하지만 세부적인 점수 산정, 가중치 부여 등에서 차이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전문가 견해를 인용해 “해외 이에스지 평가기관은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깎아내리기)를 한다는 합리적 의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앞서 지난 21일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기업들과 ‘K-ESG 지표 간담회’를 열어 이에스지 지표 초안을 공개하고, 이에 대한 의견 수렴·보완 작업을 거친 뒤 올 하반기에 최종적인 지표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스지 평가 지표가 너무 많고 다양해 혼란스럽다는 산업계의 불만을 반영한 움직임이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