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열린 ‘P4G 정상회의 대응 한국민간위원회’ 출범식에서 시민단체들이 참여 메세지를 온라인으로 나누고 있다.
코로나 시대 전 세계에서 공통으로 꼽히는 사회 문제는 기후위기이다. 국제사회는 과거 기후위기 해결에 앞장서야 할 선진국들이 기후변화 국제협약을 탈퇴하는 뼈아픈 경험을 통해 기후위기 해결을 위해서는 민간의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얻었다. 유엔은 일찍이 2015년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17개 목표 중 하나로 민관 파트너십을 강조했고, 이어 2017년 덴마크에서 민관 파트너십을 통해 녹색성장을 추진하는 ‘P4G’(녹색성장과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가 출범했다.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포용적 녹색경제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민사회의 협력과 연대가 중요하지만 아직까지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국가 정책에 담거나 국제사회에 반영하기에는 어려움이 적지 않은 게 사실이다.
지난 9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카슨 홀에선 시민단체들이 녹색전환과 탄소중립 관련 시민사회 의견을 수렴·전달하기 위한 ‘P4G 한국민간위원회’ 출범식이 열렸다. 한국민간위원회는 식량농업, 물, 에너지, 도시, 순환경제 등 P4G 중점이슈를 중심으로 관련 분야의 총 671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온·오프라인으로 이뤄진 이날 행사에는 농업, 에너지, 도시, 평화, 사회적경제 분야를 대표하는 국내 19개 시민단체가 참여했다.
‘P4G 정상회의 대응 한국민간위원회’ 출범식 현장에 참여한 시민단체들이 폐자원을 활용해 참여 메세지를 전달하는 장면.
민간위원회는
다음달 30~31일 서울에서 개최되는 ‘2021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서울 P4G 정상회의)’에 대응해 P4G 정책과 주요 이슈를 토론하고 학습하는 공론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다음달 14일 열리는 ‘P4G 시민사회 포럼’에서는 P4G 관련 정책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시민사회 목소리를 전달하고, 나아가 포용적 녹색전환을 위한 풀뿌리 시민사회 파트너십 기반의 정책들을 제안하기로 했다. 특히 P4G 정책 의사 결정 구조에 사업의 핵심 이행 주체이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이해당사자인 시민사회의 참여공간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풀뿌리 시민사회 목소리를 수렴하기 위한 참여구조 마련을 요구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민간위원회에 참여하는 기관들은 시민들이 녹색전환을 쉽게 이해하고 함께 참여·활용할 수 있도록 향후 3개월간의 민간위원회 활동을 기록하고, 녹색전환과 탄소중립 관련 다양한 지식 콘텐츠를 개발해 공유할 계획이다.
글·사진 박은경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시민경제팀장
ekpar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