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31일 미리 낸 2021년 신년사에서 “통화 정책 운용시 마땅히 고용 상황을 중요한 판단 요인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고용안정을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의 법적 책무로 명시해야 한다는 외부 요구가 잇달아 나오고 있는 데 대한 반응이다.
이 총재는 “고용안정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점”을 배경으로 들었다. 그는 다만, “상충 가능성이 있는 여러 목표를 두고 통화 정책을 운용할 경우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는 만큼, 국내외 연구결과 및 사례를 참고하는 한편 전문가의 의견을 경청해 우리 여건에 맞는 최적안을 도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앞으로 국내 경제가 완만히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이 높고 물가상승률도 목표 수준(2.0%)을 상당 기간 밑돌 것”이라며 “자산시장으로의 자금유입, 민간신용 증가 등 금융 불균형 위험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만큼 금융안정 상황에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내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는 가계와 기업이 코로나 위기를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까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배 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