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놀라운 창조적 파괴의 시대로…세계화 계속된다”

등록 2020-11-25 17:16수정 2020-11-25 17:36

토머스 프리드먼 <뉴욕타임스>칼럼니스트
아시아미래포럼 기조강연

코로나 이전과 이후의 세계

신기술·아이디어 갖춘 새 기업
팬데믹 뚫고 폭발적으로 늘 것
문제는 자본과 노동의 불균형
최저임금 올리고 노동권 강화를
토머스 프리드먼. 연합뉴스
토머스 프리드먼. 연합뉴스
토머스 프리드먼은 미국 <뉴욕타임스>(NYT)의 칼럼니스트이자 작가이다. 국제 문제를 깊이 다룬 그의 칼럼은 세계 정세와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는 대중으로부터 큰 반향을 일으킨다. 그는 중동 보도와 9·11과 관련한 칼럼으로 퓰리처상을 세 번이나 받았다. <렉서스와 올리브 나무>(1999), <세계는 평평하다>(2005) 등의 저서와 강연 활동을 통해선 세계화 현상을 냉철하게 짚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때 지구촌을 휩쓴 세계화 물결은 코로나 사태로 큰 갈림길에 직면해 있다. 세계화의 운명은 어떻게 될 것인가? 프리드먼은 올해 아시아미래포럼 첫 날인 12월2일 ‘코로나 이전과 코로나 이후의 세계’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한다. 지난 11월9일 오전(현지시각) 뉴욕에 있던 그와 화상으로 사전 인터뷰했다.

프리드먼은 “2005년 <세계는 평평하다>라는 책을 쓴 이후 2008년 금융위기처럼 세계에서 큰 일이 일어날 때마다 ‘세계화는 끝난 게 아니냐’는 질문을 받았다”며 “코로나로 일부 공급망이 축소되는 등 영향을 받고 있지만 인간의 필요와 연결성, 기술 발전으로 세계화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를 코로나 이전과 이후로 구분한 바 있는 프리드먼은 “나는 코로나 이후 세계가 놀라운 ‘창조적 파괴’의 시기를 맞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팬데믹을 뚫고 신기술과 아이디어를 갖춘 새로운 회사들이 출현할 것이고 미국은 물론 한국에서도 스타트업(신생기업)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화가 불평등을 심화시킨 것 아니냐’는 비판에 대해 그는 “세계화와 더불어 기술 발전으로 소득 불평등이 깊어진 것은 분명하다”면서도 “세계화와 기술 때문에 한국도 큰 시장이 생겼다. 주목해야 할 점은 자본과 노동 간의 불균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자본에게 더 기울어진 것을 바꾸기 위해 의도적으로 최저임금을 올리고 임금 보조금을 만들어야 한다. 한꺼번에 되지는 않겠지만 노동권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2007년 세계 경제의 생존 전략으로 친환경 에너지 혁명을 뜻하는 ‘그린뉴딜’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에서 진행된 정부 주도의 큰 프로젝트는 그가 생각하는 방식이 아닌듯했다. 그는 “시장은 정원과 같다. 내 관점에서 새로운 친환경 상품을 얻는 방법은 시장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이다. 우리의 목표를 ‘탄소 제로’로 한다면 그 목표를 달성하도록 장려하는 규칙을 설정하고 시장을 장려하면 상상할 수있는 것보다 더 빠르게 혁신할 수 있다”고 했다. ‘바이든 시대, 무엇이 달라질 것으로 보는가’란 물음엔 “정부와 대통령이 돌아올 것이고 한국과 같은 동맹국들은 전통적인 외교정책 아래 다자동맹 관계를 회복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홍대선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hongd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또 사이트 터질라…‘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 1.

또 사이트 터질라…‘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

세계 3위 완성차 회사는 ‘백일몽’?…닛산-혼다 합병 중단 2.

세계 3위 완성차 회사는 ‘백일몽’?…닛산-혼다 합병 중단

“트럼프와의 협상, 무조건 뒤로 미루는 ‘바보 전략’ 취해야” 3.

“트럼프와의 협상, 무조건 뒤로 미루는 ‘바보 전략’ 취해야”

카카오 “딥시크 쓰지 마”…커지는 중국 AI 견제 4.

카카오 “딥시크 쓰지 마”…커지는 중국 AI 견제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5.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