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4월 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크게 늘어났던 일시휴직자가 최근 수개월 동안 꾸준히 줄고 있으나 사업체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은 전혀 다른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지난달엔 ‘사업 부진과 조업 중단’을 이유로 일시휴직에 들어간 중소기업 직원 수가 급증했다. 다만 정부와 관련 기관은 이런 이례적 흐름이 나타난 원인에 대해선 이렇다 할만한 분석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9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와 중소기업연구원 자료를 보면, 지난 9월 300인 미만 중소기업 취업자 중 사업 부진이나 조업 중단으로 인한 일시 휴직자는 35만7000명이다. 중소기업 직원 중 사업 부진이나 조업 중단 사유에 따른 일시 휴직자는 지난 3월(96만4천명)에 정점을 찍은 뒤 매월 줄어들어 지난 8월엔 19만8천명이었다. 이런 흐름이 지난 9월 급증세로 반전한 것이다. 일시 휴직자는 일시적인 병과 휴가, 노동쟁의, 사업 부진, 조업 중단 등의 사유로 일하지 못한 취업자를 가리킨다.
이런 흐름은 대기업을 포함한 전체 일시휴직자 추이와도 거리가 있다. 전체 일시 휴직자는 지난 3월 160만7천명을 기록한 이후 매월 감소세를 이어왔다. 지난 9월도 전달보다 5만7천명 줄어든 78만9천명에 그쳤다.
김수현 중소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통해 전반적인 추이는 살펴봤지만, 9월에 특이한 흐름이 나타난 배경까지는 분석하지 못했다”며 “후속 연구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해당 조사를 진행한 통계청 쪽은 “개별 연구자들은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으로 여러 추이를 파악할 수는 있지만 표본 수가 적어서 해석상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만 말했다.
다만 이런 결과는 지난 8월 말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격상된 된 데 따른 영향을 배제하기 어려워보인다. 서울 등 수도권의 경우 사실상 거리두기 3단계가 되면서 음식점 등은 오후 9시 이후 포장·배달 주문만 허용되는 등 영업 규제를 받았다. 중소기업 일시휴직자 상당수가 숙박·음심점 등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 직접적 타격을 입는 업종에 종사했을 가능성이 크다.
구본권 김경락 기자
starry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