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2020년 골목상권 하반기 전망 조사
“프랜차이즈 카페 점주도 개인 자영업자가 대부분이에요. 코로나 때문에 수입은 한 달 평균 4분의 1로 줄었는데, 인건비·임대료·재료비는 그대로라 버티기 힘드네요.”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조사팀이 인터뷰한 한 커피전문점 점장의 이야기다. 전경련 조사 결과 올해 하반기 주요 골목상권 업종들의 순익은 지난해 하반기 대비 42%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경련은 외식업·제과점업·프랜차이즈업 등 22개 주요 골목상권 업종을 대표하는 협회 및 조합을 대상으로 ‘2020년 상반기 경영실적 및 하반기 전망’을 조사한 결과, 이들의 하반기 순익은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시행 등 코로나19 상황이 더욱 악화할 경우 52.6% 이상 급감할 것으로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주요 골목상권 업종들의 올 상반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평균 27.2% 줄었고 매출액에서 임대료와 인건비 등을 뺀 순익을 비교하면 32.9%가 준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하반기 순익 전망을 보면, 거리두기 시행으로 영업이 사실상 중단된 ‘유흥음식업’(-100%) 타격이 가장 클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로 수요가 줄고 온라인 구매 대체율이 높은 ‘반려동물 유통 및 용품업’(-80%), 결혼 등이 미뤄진 탓에 함께 타격을 받은 ‘사진촬영업’(-80%), 사회적 거리두기로 손님이 줄어든 ‘휴게음식업’(-78%) 등도 피해 수준이 클 것으로 전망됐다.
주요 골목상권 협회들은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코로나19 및 경기위축으로 인한 영업부진(42.9%)을 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임대료 부담(21.4%) △인건비 부담(17.8%) 순이었다.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점을 둬야 할 정부 지원책으로는 ‘내수확대와 수요촉진제도 도입’(48.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