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200대 기업의 시이오(CEO)급 1인당 평균 보수와 일반 직원의 평균 보수가 8배 남짓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 최저 연봉과 비교하면 CEO급이 받은 평균 임금은 32배까지 늘어난다. 다만 이런 보수 차이는 미국이나 영국 등 주요 선진국에 견주면 낮은 편이다.
조직개발 전문업체 지속성장연구소가 한국시엑스오(CXO)연구소에 의뢰해 7일 발표한 ‘2019년 국내 200대 기업의 CEO-임원-직원 간 보수 격차 분석’을 보면, 지난해 200대 기업에서 CEO급(등기 사내이사) 649명에게 지급한 급여 총액은 4464억원으로 1인당 평균 보수액은 6억8783만원이었다. 임원급(미등기 임원) 7189명에 지급된 전체 보수액은 2조5662억원으로 임원급 평균 보수는 3억5698만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장급 이하 직원의 평균 보수액은 7919만원이었다. 조사 대상은 20개 업종별 매출 상위 10개 기업씩 총 200곳이다.
일반 직원 보수를 기준으로 놓고 봤을 때 임원급은 일반 직원에 비해 3.8배, CEO급은 8.7배 더 많이 받았다. 특히, CEO급 평균 보수는 같은 해 책정된 최저 연봉 2094만원과 비교하면 32.8배에 이른다. CEO급 평균 보수를 100이라고 했을 때 임원급은 CEO급의 51.9%, 직원은 11.5%의 보수를 받은 셈이다.
업종별로는 ‘정보·통신’ 분야에서 CEO급 평균 보수가 가장 높았다. 이 업종의 지난해 CEO급 평균 보수는 15억2680만원, 직원 보수 평균은 8129만원으로 격차가 18.8배였다. CEO급과 직원 보수 간 격차가 가장 큰 업종은 ‘유통·상사’ 분야였다. 이 업종의 CEO급 보수는 14억5580만원, 직원급은 6070만원으로 급여 차이는 23.8배다.
보수 차이가 가장 큰 회사는 엔씨소프트였다. 이 회사의 지난해 CEO급 1인당 평균 보수는 49억5800만원이었지만, 일반 직원의 1인당 평균 보수는 7400만원으로 67배 차이가 났다. 이 가운데 김택진 엔씨소프트 사장이 받은 보수총액은 94억5000만원으로 직원 평균 보수보다 129배 많았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