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10월말 외환보유액이 4063억2천만달러로 9개월 만에 사상 최대치를 새로 썼다.
한국은행은 5일 “10월 말 외환보유액이 9월말의 4033억2천만달러에 견줘 30억달러 늘어났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9월말 기준 세계 9위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미국 달러화가 약세를 띠면서 유로, 엔 등 기타통화로 표시된 외화자산의 달러화 환산가치가 늘어난 게 외환보유액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주요 6개국 통화로 달러화 가치를 평가한 달러화 지수는 지난달 말 97.65로 9월 말에 견줘 1.5% 하락했다. 외화자산 운용수익이 늘어난 것도 보유액 증가에 기여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4055억1천만달러)까지 3개월 연속 사상 최대 기록을갈아치운 바 있다. 그러나 그 뒤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기타통화 표시자산의 달러화 환산가치가 줄어 1월 외환보유액 수준을 넘어서지 못했다.
10월말 외환보유액의 자산 구성은 유가증권이 3738억달러로 전체의 92.0%를 차지한다. 은행에 두는 예치금이 216억8천만달러(5.3%),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이 33억7천만달러(0.8%), 국제통화기금 포지션 26억7천만달러(0.7%), 금이 47억9천만달러(1.2%)다. 한달 전에 견줘보면 은행 예치금이 36억6천만달러로 가장 많이 늘었다.
9월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중국(3조924억달러), 일본(1조3226억달러) 스위스(8352억달러) 순으로 많다. 우리나라는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대만, 홍콩, 인도에 이어 9번째로 외환보유액이 많은 나라다.
정남구 기자
jej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