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아시아미래포럼 - 지속가능한 미래를 말하다
1부 ③ 금융패러다임 대전환
2008년 금융위기 뒤 양적완화
미, 4조5천억달러 쏟아부었지만
대부분 거대 민간은행 배만 불려
사회 지속가능성 향상에 걸림돌
미 대선 화두로 떠오른 ‘그린뉴딜’
친환경 중심 산업 전환 프로젝트
100% 재생에너지 사용 등 목표
‘돈 전달경로 새판 짜기’ 공감 커져
정부 소유 공공은행 설립 힘 받아
1부 ③ 금융패러다임 대전환
2008년 금융위기 뒤 양적완화
미, 4조5천억달러 쏟아부었지만
대부분 거대 민간은행 배만 불려
사회 지속가능성 향상에 걸림돌
미 대선 화두로 떠오른 ‘그린뉴딜’
친환경 중심 산업 전환 프로젝트
100% 재생에너지 사용 등 목표
‘돈 전달경로 새판 짜기’ 공감 커져
정부 소유 공공은행 설립 힘 받아
금융부문이 지속가능발전을 이끄는 견인차가 되려면 공공은행처럼 현행 방식과는 다른 ‘돈의 전달 경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사진은 화석연료 사용 금지를 주장하는 시민단체 ‘화석 없는 캘리포니아’가 캘리포니아 공공은행 설립을 주장하는 시위를 벌이는 모습. ‘화석 없는 캘리포니아’ 누리집 갈무리
#그린뉴딜이란?
100%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고 친환경 산업 중심으로 고용구조도 재편하자는 산업전환 프로젝트로, 1930년대 루스벨트 대통령이 추진한 뉴딜 정책에서 따왔다. 2008년 영국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처음 제시된 이래, 내년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주당 주요 대선주자들이 적극적으로 주장해 핵심 화두로 떠올랐다.
‘공공은행 상징’ 미 노스다코타, 지역사업 자금줄 역할…16년째 흑자
[공공은행 설립 운동의 현주소]
샌프란시스코·LA 등 설립 열기
워싱턴에선 의회가 직접 주도도 지난 3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에선 상징적인 내용의 주법 하나가 탄생했다. 시 정부나 카운티 정부 등 지방정부가 공공은행을 직접 설립하는 걸 허용하는 법안이 주 의회를 통과한 데 이어, 개빈 뉴섬 주지사가 공식서명 절차를 끝냈기 때문이다. 이로써 캘리포니아에서도 지방정부 소유의 공공은행이 세상에 등장할 길이 마련됐다. 영리를 추구하는 민간은행과는 다른 논리구조와 가치를 담은 새로운 금융의 가능성이 활짝 열린 셈이다. 민주당에서 야심 차게 들고나온 ‘그린뉴딜’ 프로젝트가 내년도 미국 대통령 선거전을 일찌감치 달구고 있는 가운데, 미국 곳곳에선 공공은행 설립 운동이 한창이다. 캘리포니아의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LA)를 비롯해 뉴욕과 워싱턴 디시 등의 열기가 특히 뜨겁다. 엘에이의 경우, 지난해 11월 공공은행 설립 요구안이 주민투표에 부쳐졌으나, 찬성표가 과반수를 약간 밑돌아 부결된 바 있다. 공공은행 설립을 주장하는 쪽에선 계속 지지세를 넓혀나갈 계획이다. 이처럼 최근 들어 공공은행 설립 바람이 유독 강하게 부는 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선 필요한 돈이 적재적소에 제때 흘러드는 게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커져서다.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수익성과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매달려야 하는 민간은행의 한계가 적나라하게 드러난 점도 빼놓을 수 없다. 금융부문의 근본적 변화 없이는 지속가능한 미래가 찾아오지 않는다는 깨달음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지역에선 풀뿌리 시민운동의 형태로 공공은행 설립 움직임에 탄력이 붙는 것과는 달리, 워싱턴 디시의 경우는 의회 스스로 적극적으로 공공은행인 ‘그린뱅크’ 설립을 주도해 눈길을 끈다. 워싱턴 디시 전역에 탄소 배출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사용을 강제하는 내용의 ‘클린에너지 옴니버스법’이 지난해 제정된 영향도 컸다. 공공은행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올해로 정확히 탄생 100년이 되는 미국의 노스다코타은행은 공공은행의 상징적 사례로 꼽힌다. 100년의 실험이 공공은행의 존재 이유를 분명하게 증명해주는 까닭이다. 이 지역의 농부들에게 신용을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1919년 탄생한 노스다코타은행은 주 재정을 관리하는 은행으로 지정된 데 이어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사업 자금줄 구실을 톡톡히 해냈다. 주주 가치 극대화라는 명분 아래 최고경영자가 엄청난 규모의 연봉을 챙겨가는 대형 민간은행과 달리, 노스다코타은행장의 연봉은 연 25만달러로 제한돼 있다. 금융위기 기간을 포함해 16년 내리 흑자 기록을 이어가고 있는 것도 눈길을 끈다.
샌프란시스코·LA 등 설립 열기
워싱턴에선 의회가 직접 주도도 지난 3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에선 상징적인 내용의 주법 하나가 탄생했다. 시 정부나 카운티 정부 등 지방정부가 공공은행을 직접 설립하는 걸 허용하는 법안이 주 의회를 통과한 데 이어, 개빈 뉴섬 주지사가 공식서명 절차를 끝냈기 때문이다. 이로써 캘리포니아에서도 지방정부 소유의 공공은행이 세상에 등장할 길이 마련됐다. 영리를 추구하는 민간은행과는 다른 논리구조와 가치를 담은 새로운 금융의 가능성이 활짝 열린 셈이다. 민주당에서 야심 차게 들고나온 ‘그린뉴딜’ 프로젝트가 내년도 미국 대통령 선거전을 일찌감치 달구고 있는 가운데, 미국 곳곳에선 공공은행 설립 운동이 한창이다. 캘리포니아의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LA)를 비롯해 뉴욕과 워싱턴 디시 등의 열기가 특히 뜨겁다. 엘에이의 경우, 지난해 11월 공공은행 설립 요구안이 주민투표에 부쳐졌으나, 찬성표가 과반수를 약간 밑돌아 부결된 바 있다. 공공은행 설립을 주장하는 쪽에선 계속 지지세를 넓혀나갈 계획이다. 이처럼 최근 들어 공공은행 설립 바람이 유독 강하게 부는 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선 필요한 돈이 적재적소에 제때 흘러드는 게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커져서다.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수익성과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매달려야 하는 민간은행의 한계가 적나라하게 드러난 점도 빼놓을 수 없다. 금융부문의 근본적 변화 없이는 지속가능한 미래가 찾아오지 않는다는 깨달음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지역에선 풀뿌리 시민운동의 형태로 공공은행 설립 움직임에 탄력이 붙는 것과는 달리, 워싱턴 디시의 경우는 의회 스스로 적극적으로 공공은행인 ‘그린뱅크’ 설립을 주도해 눈길을 끈다. 워싱턴 디시 전역에 탄소 배출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사용을 강제하는 내용의 ‘클린에너지 옴니버스법’이 지난해 제정된 영향도 컸다. 공공은행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올해로 정확히 탄생 100년이 되는 미국의 노스다코타은행은 공공은행의 상징적 사례로 꼽힌다. 100년의 실험이 공공은행의 존재 이유를 분명하게 증명해주는 까닭이다. 이 지역의 농부들에게 신용을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1919년 탄생한 노스다코타은행은 주 재정을 관리하는 은행으로 지정된 데 이어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사업 자금줄 구실을 톡톡히 해냈다. 주주 가치 극대화라는 명분 아래 최고경영자가 엄청난 규모의 연봉을 챙겨가는 대형 민간은행과 달리, 노스다코타은행장의 연봉은 연 25만달러로 제한돼 있다. 금융위기 기간을 포함해 16년 내리 흑자 기록을 이어가고 있는 것도 눈길을 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