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청에서 열린 노인 일자리 사업 박람회에서 한 어르신이 채용 정보가 담긴 유인물을 꼼꼼히 들여보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상위 0.1% 초고소득층이 1년간 거둬들인 소득이 하위 17%의 전체 소득과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상위층으로의 소득 집중도 현상이 극심하다는 뜻이다.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정우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귀속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2017년 상위 0.1%(1만8005명)의 연평균 근로소득(총급여 기준)은 8억871만원으로 나타났다. 상위 0.1% 근로소득자의 평균소득이 전체 근로소득자 1800만5천여명의 한가운데 위치한 중위소득(2572만원)의 31배에 달하는 것이다.
특히 상위 0.1% 초고소득자의 근로소득 총액은 14조5609억원에 달해 전체 근로소득자의 총급여(633조6114억원)의 2.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하위 17%(324만997명)의 총소득(15조4924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상위 1%(18만55명)의 근로소득 총액은 47조5652억원으로 전체의 7.5%를 차지했고, 상위 10%(180만553명)의 총소득은 202조9708억원으로 전체의 32.0%에 달했다. 2017년 기준 전체 근로소득자 1800만5534명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3519만원에 그쳤다. 한편 결정세액이 0원에 그쳐 근로소득세를 내지 않은 면세자는 414만1273만명(소득하위 22%)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연평균 근로소득은 628만원 수준이었다.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는 국세청에 신고된 1800만여명의 근로소득을 0.1% 단위로 구분한 통계다.
김정우 의원은 “통계에 잡히지 않는 일용직과 아르바이트 등을 포함하면 실제 근로소득 양극화는 더 심각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민소득 3만 달러의 성과가 국민이 실제 체감하는 소득 효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양극화를 해소하고 내수 경제 선순환을 유도하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지속해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