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전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 관계기관 당국자들이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미 연준의 금리인상에 따른 시장 상황 등을 논의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미국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기로 한 데 대해 정부가 “시장불안은 크지 않은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금리인상 불확실성과 자산보유축소 등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덧붙였다.
14일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은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고형권 기재부 1차관 주재로 ‘제54차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이날 새벽 단행된 미 연준의 금리인상이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을 점검했다. 관계기관들은 “이번 금리인상을 포함해 아직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시장불안은 크지 않지만 경계심을 늦출 수 없다”고 진단한 뒤 ‘금리인상 속도에 대한 불확실성’과 ‘미국의 자산축소 병행’, ‘유럽중앙은행(ECB)의 통화정책 정상화 검토’ 등을 우려 요인으로 짚었다.
관계기관들은 앞으로 금리인상 속도에 대한 불확실성과 관련해 “미 연준의 금리인상경로는 인플레이션의 향방에 좌우될 것으로 보이지만, 최근 미국 인플레이션 부진의 원인이나 지속가능성 등에 대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이 금리인상뿐 아니라 자산축소를 병행하고 있다”며 “보유 자산축소는 장기금리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더 크고 빠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짚었다. 또 유럽중앙은행이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설 것을 검토하는 상황과 관련, “글로벌 유동성 축소 효과가 향후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우려 요인으로 꼽았다.
관계기관들은 “이런 부분을 살펴 선제적인 자세로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비하겠다”며 “주요국 경제 상황과 통화정책 기조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우리 경제의 대외건전성 지표와 위험요인을 살피겠다”고 밝혔다. 또 “취약 신흥국들의 시장불안이 국내로 쉽게 전이되지 않도록 투자자와 신용평가사 등에 대한 설명을 통해 대외신인도를 높이는데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방준호 기자
whor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