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폭이 전달에 이어 30만명을 밑돌았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을 보면, 취업자 수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25만3천명 늘었다. 지속적으로 30만명 이상 수준을 이어오던 취업자 수 증가는 지난 8월 21만2천명 수준으로 떨어진 뒤, 9월 31만4천명 수준으로 30만명대를 회복했다가 10월(27만9천명)에 이어 11월에도 30만명 수준을 밑돌았다.
이런 취업자 수 증가폭 둔화는 숙박 및 음식점업(-2만8천명)과 출판·방송통신업(-4만5천명) 감소가 이끌었다. 지난달까지 전년대비 10만명 이상씩 증가했던 건설업종 취업자가 6만8천명 늘어나는 데 그치며 증가폭이 제한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자영업자 수도 10월에 4만3천명 증가했던 데서 11월에는 4천명 증가에 그쳤다. 다만 추가경정예산 효과 등으로 공공행정·국방및 사회보장 취업자 수는 8만7천명 늘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정부의 공공부문 채용과 더불어 관련 일자리가 늘고 있고 특히 노인일자리 사업등으로 60살 이상 연령대의 취업자 수 증가가 있었던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제조업 취업자 수도 4만6천명 늘며, 고용사정이 다소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청년층의 취업지표는 표면적으로 악화했다. 15~29살 청년고용률은 인구감소 영향 등으로 지난해와 같은 수준(41.9%)를 유지했지만 실업률은 9.2%로 1년 전보다 1%포인트 증가했다. 11월 기준으로는 청년고용지표 조사가 시작된 199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기획재정부는 이런 실업률 증가를 “지방직 공무원 추가채용 원서접수에 따른 취업준비생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 등 때문”으로 분석했다. 취업준비생으로 실업자에 잡히지 않았던 청년 인구가 구직활동을 시작하며 실업률을 끌어올렸다는 의미다.
기재부는 11월 고용동향에 대해 “추경집행, 수출 호조 등에도 불구하고 건설고용 조정과 지난해 기저효과 등으로 취업자 증가폭이 둔화했고 청년 취업 어려움도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하며 “취업취약계층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내용을 2018년 경제정책방향에 담아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방준호 기자
whor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