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매출 압박…잦은 야근…‘일과 삶 균형’ 5대그룹 최하위권

등록 2016-05-25 21:52수정 2016-05-26 10:04

유통업계 최초 직장어린이집인 서울 종로구 재동의 롯데백화점 어린이집에서 교사가 아이들을 인솔해 걸어가고 있다.  롯데백화점 제공
유통업계 최초 직장어린이집인 서울 종로구 재동의 롯데백화점 어린이집에서 교사가 아이들을 인솔해 걸어가고 있다. 롯데백화점 제공
[더불어 행복한 세상] 좋은 일자리 프로젝트

회사 다닐 만해요?
1부 일과 삶의 균형

(5) 롯데쇼핑
마트 직원에게도 ‘저녁’이 올까요?

자정까지 환하게 불 밝힌 마트, 퇴근 시간 뒤에도 쇼핑할 수 있는 백화점, 24시간 문 여는 편의점. 밤을 잊은 공간에 들어서면 피곤한 표정의 직원들과 마주치곤 한다. 야근이 일상이고 주말이 더 바쁜 유통업계에 종사하는 이들에게 ‘저녁이 있는 삶’에 대한 문제는, 개인이 어찌해볼 도리가 없는 문제에 가깝다.

유통업계 일자리는 장시간 노동과 높은 매출 달성 스트레스, 다른 업종에 비해 낮은 임금이 특징이다. 고용노동부 사업체노동력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도소매업의 한 달 평균 근로시간은 172.9시간, 월평균 임금은 329만원으로 금융·보험업(164.3시간, 549만원), 교육서비스업(151.5시간, 348만원), 출판·방송·통신업(164.3시간, 401만원)에 견줘 오래 일하고 월급은 덜 받는다.

대형 유통업체의 경우 본사 정규직부터 입점업체가 고용한 아르바이트까지 직원 구성이 매우 다양하다. 본사 정규직에는 남성 비중이 높고 매장 비정규직에 여성 비중이 높다 보니 성별 임금 격차도 높다. 백화점, 마트 등의 일자리 질을 국내 유통업체 최강자 롯데쇼핑을 중심으로 분석해봤다. 아울러 대형 프랜차이즈 편의점 점주와 동네슈퍼 사장님의 하루도 분석해봤다.

롯데쇼핑은 롯데백화점 59개(해외 9개), 롯데마트 285개(해외 169개), 롯데슈퍼 1297개(해외 17개), 롯데시네마 130개(해외 27개)를 운영하는 국내 최대 유통기업이다. ‘한겨레 좋은 일자리 프로젝트’에서 롯데쇼핑의 일자리 질을 분석한다는 예고가 나간 이후, 직원들의 제보가 잇따랐다. 최근 여성 관리자 비율을 높이고 근무시간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내놓는 등 변화에 나선 이 기업에서 직원들은 “정책을 세우고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기업 문화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롯데쇼핑 주요 키워드
롯데쇼핑 주요 키워드

■ 임원-직원, 남-여 임금 격차 커

2만6030명의 직원이 일하는 롯데쇼핑은 지난해 백화점 7조9453억원, 마트 5조6571억원 등 총 16조1116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지난해 말 기준 사외이사를 제외한 등기임원은 신격호 총괄회장, 신동빈 회장, 이인원 부회장, 이원준 사장, 신영자 이사 5명이다. 신동빈 회장 등 특수관계인이 주식의 70.12%를 소유하고 있다. 등기임원 5명의 1인당 평균 보수는 11억3500만원이다. 신 회장은 지난해 롯데쇼핑을 포함해 롯데케미칼, 호텔롯데, 롯데제과 등 4개 계열사에서 58억원의 연봉을 받았다.

사업보고서에서 밝힌 전체 직원 2만6030명 중 무기계약직이 9064명, 기간제 직원이 1850명이다. 사업보고서에는 롯데시네마 등 각 사업장의 아르바이트 직원 수는 포함하지 않았다. 백화점, 마트, 슈퍼 등 구조와 규모가 다른 다양한 유통업체를 거느리고 있는 기업인 만큼 사업 부문에 따라 임금과 근로환경 차이가 상당하다.

백화점, 마트, 기타(슈퍼, 시네마 등) 부문의 전체 평균 임금은 3615만원이다. 가장 임금이 높고 전원 정규직인 백화점 남성 직원 2093명의 평균 연봉이 8154만8000원에 달하는 반면, 9729명 중 8633명이 무기계약직인 마트 여성 직원들의 평균 연봉은 2487만5000원으로 3.3배 차이가 난다. 3425명 중 354명이 기간제 근로자인 백화점 여성 직원은 3733만4000원으로 남성 직원의 절반 수준이다. 무기계약직 430명이 포함된 마트 남성 직원의 평균 임금은 4972만3000원이다.

서재교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시에스아르(CSR)팀장은 “남녀 급여, 직원과 임원 급여 차이가 너무 크고 성과가 좋지 않으면 급여를 깎는 방식을 채택해 직급이 올라갈수록 피해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 2020년 과장급 이상 여성 30% 목표

최근 롯데쇼핑은 관리직과 신입 여성 비율 등을 높이기 위해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해 말 신동빈 회장은 “2020년까지 간부 사원의 30%를 여성으로 채우고 신입 공채 사원의 40%를 여성으로 뽑겠다”고 밝혔다. 2005년 5%에 불과했던 신입 공채 여성 비율은 10년 만에 40%로 늘었고 과장급 이상 여성 비율도 1%에서 11%까지 늘어났다. 정규직 신규 입사자 수는 2012년 1079명에서 2014년 848명으로 줄었는데 여성 비율은 14.83%(160명)에서 36.32%(308명)로 늘었다.

하지만 전체 직원 2만6030명 중 여성이 68%를 차지하는 것에 비하면, 11% 수준인 과장급 이상 여성 비율은 여전히 적다. 최근 여성 승진율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백화점에서 과장급 이상 승진 대상자 중 36%인 26명이 승진해 과장급 이상 여성 비율이 12.1%로 2009년 3.3%에 비해 높아졌다. 마트의 과장급 이상 여성 비율도 지난해 12.6%로 올라갔다.

전체 직원의 평균 근속연수는 6.5년이다. 백화점 남성 직원들의 경우 12.5년에 달한다. 백화점 여성 직원이 9.9년, 마트 남성 직원이 8.3년, 기타 부문(슈퍼, 시네마) 남성 직원이 5.5년, 마트 여성 직원이 4.8년, 기타 부문 여성 직원이 4년 차례다. 롯데백화점의 경우 근속연수(11.9년)가 같은 업계의 현대백화점(7.5년)이나 신세계백화점(8년)에 비해 길다.

롯데쇼핑이 지속가능보고서를 통해 밝힌 퇴사율은 2012년 4.14%에서 2014년 3.35%로 줄었다. 계약직 직원 수는 2012년 7140명에서 2014년 9242명으로 늘었다가 2015년에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무기계약직’ 직원 9064명을 정규직(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으로 집계하기 시작해 계약직 직원 수는 1850명으로 줄었다.

상무보 이상의 미등기 임원은 지난해 말 기준 177명이며 평균 나이는 51살이다. 여성 임원은 7명이며 여성 임원의 평균 나이는 50살이다. 올해 1~3월 사이에 교체된 임원은 신규 선임이 20명, 퇴임이 21명이었다. 신규 선임된 임원의 나이는 44~54살로 평균 47살이었고, 물러난 임원은 47~73살로 평균 54살이었다.

16조 매출 국내 유통 ‘최강자’
백화점 남성·마트 여성 임금차 커
노조 조직률 낮아 깨기 어려워

여성 비중 68%지만 과장급 11%
휴일근무·늦은 퇴근 장시간 노동
다섯 중 넷 “회사 추천 않겠다”
‘영업시간 제한’ 정책적 고려를

롯데쇼핑 분야별 평점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주말근무, 잦은 행사와 매출 압박

롯데쇼핑 전·현직 직원 659명이 평가한 잡플래닛 자료를 보면 특히 직원들의 ‘업무와 삶의 균형’ 만족도가 5점 만점에 2.02점으로 5대 그룹 계열사 중 최하위권 수준이다. 지인에게 회사를 추천하겠다는 비율은 22%에 불과했다. ‘업무와 삶의 균형’ 만족도 평가에서는 특히 영업·제휴, 유통, 정보기술(IT), 마케팅 직군 직원들의 점수가 1점대로 매우 낮았다. 업무와 삶의 균형에 대한 만족도는 여성(2.07)보다 남성(1.94)이 더 낮았다. 회사 단점으로 꼽은 키워드에는 근무시간, 주말, 보수적, 군대, 퇴근, 야근, 연봉, 출근, 고객 등의 단어가 많았다.

2012년 대구지법에서 업무상 재해 인정을 받은 백화점 직원의 사례는 일상적인 연장근무와 주말근무로 삶의 균형이 깨진 상태에서 휴무일에도 회사 호출이나 여러 행사 때문에 동원되는 근무 환경의 문제를 보여준다. 입사 9년차, 40대 초반인 그는 2010년 ‘파트 매니저’에서 ‘파트 리더’로 승진한 지 6개월 만에 뇌경색으로 쓰러졌다. 골프장에서 우수고객 행사를 치른 날이었다.

쓰러지기 전 3개월 동안 그는 주말근무 뒤 휴무일인 월요일, 화요일에도 서울 본사로 출장을 가거나 부산에 가서 회사의 시험을 치는 등 회사 업무에 동원됐다. 마지막 달에도 야근이 반복됐고 휴무일에도 우수고객 행사를 위해 회사나 골프장으로 출근을 했다. 마지막 1주일은 휴일 없이 일하며 매일 야근을 했고 행사 당일에는 점심식사도 하지 못하고 일하다가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할 상태가 되어서야 귀가해 병원으로 이송됐다.

법원은 그가 담당 분야의 매출이 감소할 경우 영업관리 책임자인 자신의 인사고과에 반영되고 연봉이 줄어드는 불이익이 있어 부담을 느꼈다는 점을 인정했다. 임상혁 노동환경건강연구소장은 “롯데쇼핑의 늦은 퇴근시간, 높은 노동강도, 매출에 대한 스트레스, 군대식 조직문화 등은 모두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고 뇌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롯데쇼핑은 백화점 부문을 중심으로 ‘일과 삶의 균형’과 관련한 변화를 꾀하고 있다. 올해부터 유연근무제를 도입했고 2014년 8월부터 자신이 선택한 근무제의 퇴근시간이 되면 20분 뒤에 컴퓨터가 꺼지도록 하는 ‘피시 오프제’를 시행 중이다.

하지만 직원들의 설명은 다르다. 컴퓨터가 꺼지는 걸 막으려면 연장근무를 위한 기안을 올려야 하는데 이 경우 수당을 받게 돼 상급자의 눈치가 보인다고 한다. 결국 컴퓨터가 꺼지는 걸 막으려고 시스템을 변경하는 ‘꼼수’가 횡행한다. 본사 직원들 사이에는 쉬는 주말에도 여러 매장을 돌아보는 업무를 독려하는 분위기가 형성돼 있어 심지어 1박2일로 지방 백화점 등을 다녀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롯데마트도 매출 대비 인건비가 높으면 점장이 압박받게 되어 있는 구조여서 연장근무 수당을 둘러싼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매장이 문을 여는 영업시간 때문에 야근과 주말근무를 피할 수 없는 만큼 유통업계 일자리 질과 관련해서는 정책적인 접근도 필요하다. 영국의 경우 백화점이나 할인매장 등 대형 상점이 일요일에 6시간 이상 영업을 할 수 없도록 법으로 정하고 있다.

퇴근시간 맞춰 PC 오프제
직장어린이집 3곳서 휴일보육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업계 최초 어린이집·감정노동 매뉴얼

롯데백화점은 2010년 업계 최초로 직장어린이집을 설치하고 2014년 감정노동자 보호 매뉴얼도 처음으로 내놨다. 주말에도 일하는 유통업계 특성상 직장어린이집에서 휴일 보육도 실시한다. 다만 서울·부산의 어린이집 세 곳의 정원이 모두 99명에 불과해 수용률에 한계가 있다.

육아휴직 사용률도 최근 달라지고 있다. 2014년부터 육아휴직 최대 기간을 2년으로 늘렸고 임신 전체 기간에 ‘근로시간 단축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게 했다. 롯데백화점 남성 육아휴직자는 2012년 6명에서 2015년 52명으로 늘었다. 롯데마트도 지난해 42명의 남성 직원이 육아휴직을 했다. 하지만 최근 롯데마트에서는 육아휴직 뒤 복귀하자 직책이 낮아진 남성 직원이 노동청에 신고를 했다. 롯데마트는 이에 대해 “남성 육아휴직자에게 불이익을 주지 않았다”고 밝혔다. 롯데백화점도 휴직 뒤 직무 변경 등 불이익을 받아 그만두는 사례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2014년 선포한 ‘감정노동자 보호 매뉴얼’은 판매직원, 콜센터 직원 등 감정노동에 시달리는 여러 업종에 자극을 줬다. 올해 롯데인재개발원은 ‘워킹맘을 위한 생활지침서’를 펴내기도 했다. 한 직원은 “각종 정책을 만들고도 수직적 분위기, 보고 중시 문화 등의 토대가 바뀌지 않아 제대로 활용을 못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임지선 허승 기자 s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팰리세이드 타보니…진정한 ‘아빠차’, 정말 크고 AI 비서도 쓸만하네 1.

팰리세이드 타보니…진정한 ‘아빠차’, 정말 크고 AI 비서도 쓸만하네

공기청정기 비정품 필터에서 살생물 물질 검출…환경부, 8개 제품 회수명령 2.

공기청정기 비정품 필터에서 살생물 물질 검출…환경부, 8개 제품 회수명령

‘내란 쇼크’ 4분기 성장률 0.1%…올해 1분기도 얼어붙는다 3.

‘내란 쇼크’ 4분기 성장률 0.1%…올해 1분기도 얼어붙는다

전용 84㎡ 분양가 24억원…‘래미안 원페를라’가 5억 로또? 4.

전용 84㎡ 분양가 24억원…‘래미안 원페를라’가 5억 로또?

1000~1250원은 잊어라…“달러 환율, 장기 평균에서 구조적 이탈” 5.

1000~1250원은 잊어라…“달러 환율, 장기 평균에서 구조적 이탈”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