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건설사 32만가구 공급 계획
11만가구 줄었어도 2009년후 최대
실행률 관건…2010년 35%로 떨어져
대출규제 강화로 시장 냉각 기미
내년 봄이 연중 흐름 분수령 될 듯
11만가구 줄었어도 2009년후 최대
실행률 관건…2010년 35%로 떨어져
대출규제 강화로 시장 냉각 기미
내년 봄이 연중 흐름 분수령 될 듯
줄였어도 넘칠까? 민간 건설사들이 2016년 분양계획을 올해 쏟아낸 공급량보다 25% 감축했으나, 계획치로서는 결코 적은 물량이 아니어서 ‘공급과잉’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민간의 분양계획 대비 실행률은 부동산 침체가 깊었던 2010년엔 35%까지 떨어진 ‘흑역사’가 있어서 내년도 실행률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21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와 <연합뉴스>가 공동조사한 2016년 민영아파트 분양계획 자료를 보면, 민간 건설사들은 내년에 전국 342개 사업장에서 31만9800가구를 분양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도별 계획치를 견주었을 때 2009년 이후 최대치다. 부동산114는 해마다 12월이면 민간 건설사를 상대로 이듬해 분양계획을 조사해왔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부문의 2016년 아파트 공급계획은 내년 2~3월께 확정된다.
내년도 민간 건설사의 계획물량은 올해 공급한 42만9100가구보다는 11만가구쯤 줄었지만 적지 않은 수준이다. 연간 계획물량이 30만가구를 넘어선 것은 시장 훈풍이 감지됐던 올해를 빼곤 2008년도가 마지막이었다. 2008년엔 금융위기 발발 이전 34만9100가구를 계획했으나 분양 성수기인 9월에 미국 주택시장 거품이 터지고 금융위기가 시작되면서 실행률은 38%로 떨어졌다. 이후 민간 건설사들은 계획물량을 20만가구대로 낮추었지만 2009~2010년 실행률은 절반에도 못 미쳤다. 그나마 계획과 실제 공급량이 수렴한 것은 2011~2013년 계획을 20만가구 이하로 끌어내리면서였다.
올해는 전세난과 저금리 기조 상황에서 정부의 부양책이 동원되자 분양시장이 달아올랐고, 민간 건설사들은 침체기에 수년간 묵혀둔 택지에 신규 분양을 쏟아냈다. 이에 올해 민영아파트 분양계획 실행률은 139%에 이른다. 공공 물량까지 더하면 연말까지 아파트 공급량은 모두 52만632가구로 추산돼 2000년 이후 최대치 기록을 달성한다.
이처럼 공급과잉에 대한 부담이 올 한해 누적된 상태에서 정부는 이달 들어 가계부채 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의 대출 심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어 미국발 금리인상도 단행됐다. 분양시장은 물론 기존 재고주택 거래 시장마저 싸늘한 관망기로 돌아서는 배경이다.
새해 분양시장이 올해만큼은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온기를 이어갈 수 있을지는 단언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민간 건설사의 월별 계획을 보면, 비수기인 1~2월엔 1만3천~1만5천가구 정도를 공급하고, 성수기인 3월에 월별 최대 물량인 3만9800가구를 쏟아낼 예정이다. 결국 내년 봄이 연중 시장의 흐름을 가늠하는 시기가 될 가능성이 큰 셈이다. 민간 건설사들은 수도권보다는 지방에서 시장 분위기가 크게 위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분양계획을 잡을 때 수도권에선 16%인 3만4천가구를 줄여 18만2천가구를 공급하기로 했지만, 지방에선 35%인 7만5천가구를 줄여 13만7800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 부동산114의 김은선 책임연구원은 “대출규제 강화, 금리 인상, 공급과잉 우려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져서 주택 구매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건설사가 공격적으로 분양을 진행하기가 쉽지 않은 환경”이라고 말했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