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천억 투입…지분 1.44% 확보
경영권 승계 작업 시작한 듯
경영권 승계 작업 시작한 듯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의 외아들인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이 현대차 주식 316만4550주를 사들였다. 지난해 ‘일감 몰아주기’로 몸집을 키운 현대글로비스와 이노션 지분 매각을 통해 마련한 약 1조원의 ‘실탄’으로 경영권 승계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24일 정의선 부회장이 현대중공업이 보유하고 있던 현대차 주식 440만주 가운데 316만4550주를 매입했다고 밝혔다. 이날 현대중공업 공시를 보면, 이번 거래는 장 마감 뒤 시간외 대량매매를 통해 이뤄졌으며 전체 매매대금은 4999억9890만원이었다. 현대차는 “우리 지분이 제3자에게 매각될 경우 안정적 경영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지분이 시장에서 매각되면 주가에 영향을 주게 돼 주주 가치가 훼손될 우려가 있어 직접 인수를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중공업그룹 입장에서는 자금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계열사인 현대삼호중공업은 최근 유전 시추선의 납기일을 맞추지 못해 선주사로부터 계약을 취소당하는 악재를 맞자, 5천억원 손해를 감수하고 보유하고 있던 포스코 주식 130만주를 매각했다.
정 부회장은 이번 매입으로 현대차 주식 317만995주(1.44%)를 보유하게 됐다.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한성대 교수)은 “현대차, 기아차, 현대모비스가 그룹의 핵심이어서 이들 회사 지분을 어느 정도 가져야 경영 승계라고 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이 시작된 것으로 본다”며 “경영 승계 작업이 갑자기 이루어지면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나타날 수 있다는 걸 엘리엇 사태가 보여주었기 때문에, 승계 작업에 소극적이던 현대차에서도 움직임이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현대차그룹은 ‘기아차-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차’로 이어지는 순환출자 구조로 돼 있다. 이 가운데 현대모비스는 그룹 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열쇠로 거론돼 왔다. 정몽구 회장은 이 회사 지분 6.96%를 보유하고 있으나, 정 부회장은 한 주도 갖고 있지 않다. 정 부회장이 지분을 보유한 계열사는 기아차(1.74%)를 비롯해 현대글로비스(23.29%), 현대오토에버(19.46%), 현대엔지니어링(11.72%), 이노션(2%), 현대위아(1.95%) 등이다. 김상조 소장은 “현대차그룹의 순환출자 구조는 헤지펀드 공격에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이러한 구조를 해소하면서 그룹 지배에 필요한 안정적인 지분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사업 개편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