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위부터 배달의민족, 요기요, 배달통.
작년 매출액 61% 쏟아붓기도
‘평균 10%’ 수수료 못 내려
‘평균 10%’ 수수료 못 내려
배달앱의 과도한 광고비 지출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상공인과 소비자에게 그대로 전가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영환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배달앱 업계 ‘빅3’인 배달의 민족(매출기준 시장점유율 51.4%), 요기요(32.9%), 배달통(15.7%)의 매출액 합계는 지난해 기준으로 566억원으로 파악됐다. 배달앱은 온라인 기반으로 음식점과 소비자 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모바일 서비스다. 이 업체들은 가맹점인 소규모 자영업자에게 주문·결제대행 서비스 등을 제공하면서 평균 10% 수준의 수수료를 받는다.
김영환 의원은 “배달앱 업체들은 수수료 수익을 서비스 개선에 쓰는 대신에 시장 선점을 위한 광고비에 몰아서 투입했는데, 한 배달앱 업체는 지난해 매출액의 61%를 광고·선전비로 사용했다”고 짚었다. 그는 또 “업체들이 광고에 막대한 비용을 지출하다 보니 수수료도 내리지 못하고, 소비자는 비싼 값에 음식을 사 먹는 구조가 됐다”고 덧붙였다.
지난 4월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배달앱이 가맹점으로부터 받는 수수료는 요기요가 12.5%, 배달의 민족이 5.5∼9%, 배달통이 2.5% 수준이다. 수수료 말고도 가맹점들은 배달앱 화면 상위에 노출하려면 광고비로 월 3만3천∼7만7천원을 부담해야 한다. 지난달 배달의 민족과 요기요는 주문 대행 수수료를 없애고 광고수익 모델로 전환했지만, 배달앱 상위에 가게 이름을 올리려면 과도한 광고비를 지출해야 해서 소상공인의 부담은 상당하다. 김 의원은 “배달앱 업체의 수수료 체계와 광고비 부담이 가맹점에 전가되고, 음식값을 인상하거나 서비스 질을 낮추는 결과를 낳아 소비자한테 부담이 돌아가고 있다”고 짚었다.
김미영 기자 insty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