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배달앱 ‘빅3’ 과도한 광고비…소비자·가맹점들에게 부담 떠넘겨

등록 2015-09-13 20:24수정 2015-09-14 11:04

맨 위부터 배달의민족, 요기요, 배달통.
맨 위부터 배달의민족, 요기요, 배달통.
작년 매출액 61% 쏟아붓기도
‘평균 10%’ 수수료 못 내려
배달앱의 과도한 광고비 지출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상공인과 소비자에게 그대로 전가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영환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배달앱 업계 ‘빅3’인 배달의 민족(매출기준 시장점유율 51.4%), 요기요(32.9%), 배달통(15.7%)의 매출액 합계는 지난해 기준으로 566억원으로 파악됐다. 배달앱은 온라인 기반으로 음식점과 소비자 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모바일 서비스다. 이 업체들은 가맹점인 소규모 자영업자에게 주문·결제대행 서비스 등을 제공하면서 평균 10% 수준의 수수료를 받는다.

김영환 의원은 “배달앱 업체들은 수수료 수익을 서비스 개선에 쓰는 대신에 시장 선점을 위한 광고비에 몰아서 투입했는데, 한 배달앱 업체는 지난해 매출액의 61%를 광고·선전비로 사용했다”고 짚었다. 그는 또 “업체들이 광고에 막대한 비용을 지출하다 보니 수수료도 내리지 못하고, 소비자는 비싼 값에 음식을 사 먹는 구조가 됐다”고 덧붙였다.

지난 4월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배달앱이 가맹점으로부터 받는 수수료는 요기요가 12.5%, 배달의 민족이 5.5∼9%, 배달통이 2.5% 수준이다. 수수료 말고도 가맹점들은 배달앱 화면 상위에 노출하려면 광고비로 월 3만3천∼7만7천원을 부담해야 한다. 지난달 배달의 민족과 요기요는 주문 대행 수수료를 없애고 광고수익 모델로 전환했지만, 배달앱 상위에 가게 이름을 올리려면 과도한 광고비를 지출해야 해서 소상공인의 부담은 상당하다. 김 의원은 “배달앱 업체의 수수료 체계와 광고비 부담이 가맹점에 전가되고, 음식값을 인상하거나 서비스 질을 낮추는 결과를 낳아 소비자한테 부담이 돌아가고 있다”고 짚었다.

김미영 기자 insty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6조’ LG CNS 기업공개…또 ‘중복상장’ 논란 일 듯 1.

‘6조’ LG CNS 기업공개…또 ‘중복상장’ 논란 일 듯

글로벌 3대 신평사 “한국 정치 불확실성 길어지면 부정적 영향” 2.

글로벌 3대 신평사 “한국 정치 불확실성 길어지면 부정적 영향”

사망보험금도 생전에 받아 쓴다…이르면 하반기부터 3.

사망보험금도 생전에 받아 쓴다…이르면 하반기부터

‘상용화 멀었다’ 젠슨 황 한마디에, 양자컴퓨터 주식 40% 폭락 4.

‘상용화 멀었다’ 젠슨 황 한마디에, 양자컴퓨터 주식 40% 폭락

BTS 촬영지 무궁화호 타고 떠나자…경기 북부 교외선 재개통 5.

BTS 촬영지 무궁화호 타고 떠나자…경기 북부 교외선 재개통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