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세 통신매장 급감에도 이통사들은 영업 영역 넓어져
영세 통신매장이 급감한 사이에 이동통신 3사의 직영 매장이 영업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정치민주연합 유승희 의원은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해 12월 8424개였던 이통 3사 직영점이 올해 6월 9014개로 590개(7%)가 늘어났으나 영세 판매점은 같은 기간에 3만2289개에서 2만8752개로 3537개(11%)나 감소했다고 2일 밝혔다. 이통사 별로는 업계 1위 에스케이텔레콤(SKT)과 2위 케이티(KT)가 각각 289개, 263개를 늘려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영업 환경이 비교적 좋은 전국 주요 상권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미래부 자료를 보면 전국 8개 권역 53개 노른자위 상권에서 영업 중인 영세 판매점의 숫자는 2013년 7월 2219개였으나 1년가량 지난 2014년 11월 조사에선 2014개로 205개가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빈 상권은 이통 3사 직영점의 영역으로 들어갔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변화의 배경에는 자금과 인력이 풍부한 통신 대기업 3사가 직영점과 대리점을 차별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이라는 게 유 의원실의 분석이다. 현행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은 차별적인 보조금을 없앤다면서 소비자의 단말기 구매 때 정해진 보조금을 주도록 하고 있지만, 보조금의 15%에 한해서 추가 지원금을 재량껏 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통 3사가 직영점에 대해선 이를 전폭 지원하면서 영세 판매점에는 소극 지원해 차등을 둔다는 지적이다. 실제 지난 3월 방송통신위원회에 출석한 한 이통사 임원은 현재 영업이 직영점 중심이라는 사실을 인정하기도 했다. 유승희 의원은 “유통망이 통신 3사에 집중되면 영세 자영업자의 몰락은 물론, 일반 소비자의 선택권이 줄어들면서 피해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