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틈새시장 성과 매출·수출 점점 늘어…적합업종 해지 땐 1년 안 문 닫게 될것”

등록 2014-12-01 20:22수정 2014-12-02 10:00

엘이디 조명은 대기업의 중기적합업종 해지 요구가 거센 품목 중 하나다. 네브레이코리아 직원들이 엘이디 가로등을 립하고 있다.  네브레이코리아 제공
엘이디 조명은 대기업의 중기적합업종 해지 요구가 거센 품목 중 하나다. 네브레이코리아 직원들이 엘이디 가로등을 립하고 있다. 네브레이코리아 제공
[적합업종제 시행 4년…지금 중소기업 현장에선]
(2) 엘이디 조명-네브레이코리아
“엘이디(LED) 조명은 중기적합업종 품목 중 대기업이 제일 탐내는 품목일 겁니다. 엘이디등은 전통 조명(백열등·형광등…)에 비해 전력을 적게 먹으면서 훨씬 환하고 수명도 길죠. 서울시가 가로등 5만여개를 엘이디로 바꾸면 화력발전소 하나를 줄일 수 있다고 발표했을 만큼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갖추고 있어 전세계적으로도 엘이디등 교체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어요. 미래 시장 가능성이 크다 보니 대기업은 적합업종 지정제도를 흔들어 이것마저 다 하려고 하는 거죠.”

지난 25일 만난 엘이디 조명업체 네브레이코리아 김정항 이사는 할 말이 많았다는 듯 말을 쏟아냈다.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제도가 왜 필요한지를 설명하던 그는 강조할 부분에선 “힘주어 말하겠습니다”라며 또박또박 말하기도 했다.

엘이디 조명은 2007년부터 서서히 각광받기 시작했다. 대량생산 시설로 실내등의 민수 시장을 장악한 대기업이 관수(정부 조달) 시장까지 눈독을 들이자 중소기업들의 위기감이 커졌다. 중소업체들엔 조달 시장이 유일한 성장동력이다. 민수 시장은 중국산 저가 제품이 깔려 브랜드·자금력 없인 경쟁이 되지 않는다. 대기업 10여곳과 800여곳의 중소기업이 경쟁하는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80%는 5인 미만 사업장일 만큼 영세하다.

엘이디 조명이 2011년 적합업종으로 지정되면서 대기업은 민수 시장에서 벌브형 엘이디, MR16, PAR30 램프만 생산판매하고, 중견기업은 민수 시장에서만 사업을 영위하도록 권고가 떨어졌다. 2009년 5월에 직원 3명으로 시작한 네브레이코리아에도 기회가 생겼다.

대기업 10여곳 중기 800여곳 경쟁
중기 80%는 5인 미만 사업장 영세
민간부문은 중국산 저가제품 ‘밀물’
“대기업, 중소기업 밥그릇 뺏지 말고
오스람 같은 글로벌기업과 경쟁을”

“적합업종 지정 뒤 회사가 확 컸어요. 투광등·가로등·공장등 등을 만드는데, 대기업이 하지 않는 틈새시장인 투광등 분야에서 성과를 많이 냈죠. 투광등 분야는 6년 연속 국내 1위입니다. 기술개발 등에 투자하며 열심히 했더니 직원도 46명으로 늘게 됐죠.”

작년 매출이 60억원인데 올해는 80억원으로 늘어나는 등 매출도 증가세다. 수출도 활기를 띠고 있다. 엘이디 조명 보급률 세계 1위인 일본에서만 5년간 누적수출액이 200만달러다. 최근엔 뉴질랜드와 계약을 체결하고, 중남미·중동 등 다른 나라로도 판로를 개척중이다.

“대기업들은 글로벌 기업의 시장점유율이 늘어났다며 적합업종 해지 사유가 생겼다고 말해요. 하지만 전에 동반성장위원회가 실태조사를 해 발표했듯이 글로벌 기업이 민수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에도 못 미쳐요. 조달 시장은 들어올 수도 없고요. 대기업은 중소업체 밥그릇마저 뺏으려 하지 말고 오스람, 필립스 같은 회사와 경쟁하라고 말해주고 싶어요.”

한국광산업진흥회의 통계를 보면, 엘이디 조명이 처음 중기적합업종에 지정된 2011년 3000억원 규모이던 시장은 2013년 5570억원 수준으로 커졌다. 2015년 백열등 사용이 금지되면서 엘이디 조명 교체가 국책사업으로 진행 중이다. 시장은 더욱 과열상태가 될 전망이다. 최근 한 중견기업도 중견기업의 관수 시장 참여를 막는 건 차별이라며 적합업종 지정 해지에 나설 정도다.

“만일 엘이디 조명을 중기적합업종에서 해지하면 대기업들이 가로등·보안등 같은 대량생산이 불가능한 조명을 직접 제조할까요? 아마도 중국에서 들여오거나 국내 업체에 하청을 주겠죠. 그렇게 되면 엘이디 조명 기반 사업이 무너질 수밖에 없어요. 힘주어 말하겠습니다. 적합업종 지정이 해지되면 우린 2년, 이르면 1년 안에 문을 닫게 될 거예요. 대기업의 자금력이면 기술도, 뛰어난 연구진도 다 사갈 수 있잖아요. 제도 시행 3년 끝났으니 그만해라 하면 그동안 들인 인력과 기술 투자비는 어쩝니까. 3년이란 시간은 중소업체들이 생존력을 갖추기엔 부족한 시간이에요. 적어도 10년은 할 수 있게 재지정이 계속 이뤄져야 한다고 봅니다.”

김미영 기자 instyle@hani.co.kr 사진 네브레이코리아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배민 배달료 통합개편안에 라이더들 “기만적 500원 삭감” 반발 1.

배민 배달료 통합개편안에 라이더들 “기만적 500원 삭감” 반발

영업적자 낸 LG·삼성 배터리 “투자 축소” 2.

영업적자 낸 LG·삼성 배터리 “투자 축소”

무디스, 삼성전자 신용등급 전망 ‘부정적’ 하향조정…“기술 리더십 약화” 3.

무디스, 삼성전자 신용등급 전망 ‘부정적’ 하향조정…“기술 리더십 약화”

공기청정기 비정품 필터에서 살생물 물질 검출…환경부, 8개 제품 회수명령 4.

공기청정기 비정품 필터에서 살생물 물질 검출…환경부, 8개 제품 회수명령

27일 임시공휴일에 걱정하는 사장님들 “월말인데 돈 묶여” 5.

27일 임시공휴일에 걱정하는 사장님들 “월말인데 돈 묶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